지난 방송
- 단기간 숏을 보는 것이 맞다고 했다.
- 아직까지 채널 밖을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하락 추세에 있다.
- 단기적으로 봤을 때, 파동카운팅
1. 이대로 오르는 시나리오
2. 상승 파동 + 러닝플랫 + 상승
3. 상승 파동 + 확장 플랫 + 상승
4. 이대로 내리는 시나리오
- 방송 시점 기준으로 떨어지는 시나리오가 3개, 그대로 오르는 시나리오가 1개이다. 그러므로 확률이 높다.
- 3개의 공통 구간 : 숏
- 숏을 이 구간에서 들어가게 되면, 상단 트렌드 라인을 손절 라인으로 잡으면 되기 때문에, 손익비가 좋은 구간
결과적으로 하락했다. 러닝 플랫 지지라인까지.
- 그런데 지지받을 때 들어가기보다 트렌드 라인을 뚫을 때 롱 진입이 더 좋다.
- 이렇게 말했었다.
- 오르면 매물대 시작되는 41.5k까지 갈 것이라고 말했었다. (최소한)
그런데 만약에 이 구간에서 지지받지 못하면, 러닝 플랫이 아니라는 뜻이다. (왜? 러닝 플랫은 매수세가 강한 불규칙 조정장이므로, C파가 짧게 놔와야 하는 건가? 그걸 말하는 듯하다.)
- 따라서 반등이 어디서 어떻게 나올지 잘 모른다. 두고 봐야 한다. 이야기했었다.
- 가장 매매하기 편한 방식으로 나왔다. 하락했고, 지지받을 곳에서 지지받았고, 채널 돌파하면서 급상승 나왔다.
선물 관점이 아니라 현물 관점에서도
- 여기서부터는 내려도 엔딩 관점으로 하락하고 오를 가능성이 크니까 현물로 매수해도 좋다고 말했었다.
차트 분석
- 추세가 전환됐다고 보면 된다.
- 하락 추세의 마무리는 상단 트렌드 라인을 깨는 것이었는데, 깨고 올라갔다.
- 카운팅적으로는 명확히 ABC(abc-abc-abc)가 보인다.
- 다만 투심이 안 좋으면 엔딩 다이아고날이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자고 했었다.
- 이후 반등이 오고 있다.
-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것 : 하락 추세는 끝났다는 것
- 반등이 어디까지 올 것인가?
- 피보나치 0.5구간이 유력하다고 생각한다.
- 떨어질 때 가장 매물대를 많이 쌓은 지점이 세 군데가 있다.
- 지금 첫 번째 매물대 구간에서 테스트를 받고 있다. 메이저 테스트는 382~0.5구간일 것이다.(매물대가 가장 많은 곳)
- 폭락 이후 횡보하면서 매물대 많이 쌓은 구간
- 이곳을 뚫으면 또 그다음 매물대 구간에서 테스트를 받을 것이다.
- 하락 테스트가 이렇게 길었는데, 첫 매물대 구간 236에서 다시 맞고 하락한다고 보기는 힘들다.
- 채널이 깨졌는데 236구간까지만 되돌리고 내려간다는 것은 보기 힘든 확률이다. 초약세장에서는 가능한데, 이런 가능성은 많이 적다.
- 최소 382~0.5구간
- 0.5구간을 더 유력하게 본다.
- 대단위 파동이 한 번 끝나면, 진짜 약세장이 아닌 이상 0.5구간이 중립 구간이라고 보는데, 매물대 상단이기 때문에 높은 확률로 여기를 본다.
- 다만 한 번에 가지는 않을 것이다. 매물대가 있기 때문에.
- 이 구간을 뚫을 만한 초대형 불장 혹은 호재가 나오지 않는 이상 일반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 A가 나왔고 B가 러닝 플랫(연두)으로 나왔고, C 올라갔다가 저항받고 다시 조정. 이후 다시 한번 올라가서 382 또는 0.5구간까지 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 카운팅을 해보면 명확하다.
- 러닝 플랫이려고 하면, 이 전 구간이 임펄스여야 한다.
- 12-12345-45로 카운팅이 빨간색 구간에서, 초록색 구간까지 된다.
- 30분 봉 보면. 상승 다이버전스가 있다.
- 지지받으면서 5 파동 다 나오는 것 보고, 상승 다이버전스 뜬 것 보고 숏 완익 및 롱 스위칭의 충분한 근거가 되지 않았나 싶다.
- 올라가는 파동의 임펄스는 초록색부터다.
세 가지 관점
1. 1234가 나오고 5 파동이 세게 나왔다고 보는 관점
- 가장 직관적이고 초보자들이 하는 카운팅일 것 같다.
- 고점이 다 나온 것이고 하락하는 관점
- ABC가 러닝 플랫으로 완성된 것이었으면, 하락은 꽤 클 것이다.
- 0.5구간인 37.3k까지.
2. 12-12345-45로 나오는 관점
- 이렇게 볼 수 있다.
- 1번, 2번 중 뭐가 맞는지는 정확히 모른다.
- 추세를 읽으면 좋은데, 추세를 읽기 어렵다.
- 이렇게 왼쪽처럼 추세를 볼 수 있다. 그러면 1234가 나오고 5파가 연장돼서 세게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 기본적으로는 3파가 가장 길고, 3-3이 가장 길다.
- 그러면 오른쪽처럼 12-12345-45로 볼 수 있다.
- 매억남은 2번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 삼각 수렴이 나왔다.
- 그러면 임펄스가 나왔다가 첫 삼각 수렴이 나온 곳은 4 파일 확률이 굉장히 높다.
- 그러면 살짝 더 위가 5파 자리로 볼 수 있다.
- 5파가 좀 더 연장되서 미친 듯이 상승하지 않는 이상, 조정을 받을 것이다.
- 매억남은 숏 진입할 것이고, 반익절/ 본절 역지정 걸어놓을 것이다.
3. 12-12345-45이 다 나왔다고 보는 관점
- 2번과는 다르게 이미 파동이 다 나왔다고 보는 관점
- 차이 : 여기서 끝나느냐, 조정 이후 한 번 더 상승하고 끝나느냐의 차이.
2번과 3번을 동시에 염두에 두고 전략을 둔다면
- 숏 / 반익절은 똑같이 한다.
- 떨어지면 땡큐
- 그렇지 않고 올라간다고 하면, 아직 5 파동이 남았다는 관점으로 보는 것이 확실하다.
- 따라서 숏을 그대로 두고, 상단에서 추가 숏을 들어갈 것이다. (평단 : 주황)
- 동일하게 반익/ 역지정/ TP 구간 세팅할 것이다.
다른 시나리오
- 앞 구간이 임펄스였다는 것은 너무 명확하고 그 이후 조정이 러닝 플랫이라는 것도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됐다.
- 불장 시나리오
- 오른쪽 처럼 나올 수 있다. 바닥부터 나오는 임펄스이며, 큰 상승장이다.
- 저점부터 나오는 상승이 임펄스 1파(파란색)라면, 2파가 나올 것이고, 3파가 크게 나올 것이다라는 것이다.
- 이러면 대략 80k까지는 갈 수 있다.
- 지금부터 장대연봉이 계속해서 나오면 가능한 시나리오나 그렇지 않으면 가능성이 높지 않다.
지난 방송 장기관점에서
1. 지금부터 반등 나온 이후 떨어지는 큰 하락장
2. 이미 러닝플랫으로 4파가 나왔고, 5파로 상승했다 하락하는 관점
- 이렇게 두 관점을 봤었다.
- 그런데 무엇이 됐든 공통 상승 구간이 있기 때문에 어차피 당분간은 오를 것이라고 말했었다.
- 그런데 시청자 중 일부가 '매억남 시즌종료, 하락한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5파 추측은 언제 가능하냐?
- 1,2파 나왔을 때는 불가능하다.
- 최소 3파가 나와야 가능하다.
- 가격을 추론하기보다, 카운팅을 정확히 해서 이 파동이 언제 끝나는지를 보는 게 좋다.
1파가 너무 ABC로 보이지 않냐?
- 이렇게 보면 상승장은 없다.
- A(abc-abc-C) - B - C니까 이후에는 하락이다.
- 이렇게 본다면 하락장을 봐야 한다.
- 그러나 이런 식으로 볼 수도 있다.
- 한 파동을 빨간색 원으로 보고 이후 엔딩이 나온 것이라고 보면 여기까지가 1파이다. 따라서 무조건 ABC라고 보기보다 다른 가능성도 있다고 보면 좋다.
예전에 러닝 플랫이 명확하게 나온 구간
- 20년 8월~ 20년 10월
- 이 때 이후에 러닝 플랫이 없었다.
주봉 일봉 상 히든 다이버전스 나오지 않았나요?
- 주봉은 과매도 구간에 들어가지 않았기 때문에 보면 안 된다.
- 일봉은 애매하다.
-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 : 저점은 상승하는데 rsi의 저점은 하락
3파의 1파 크기가 1파 크기보다 작지 않아도 되나요?
- 3-1파가 꼭 1 파보다 작지 않아도 된다. 법칙은 없다.
'코인 공부 & 매매 복기 > 매억남 라이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2.14) (0) | 2025.02.06 |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2.08) (0) | 2025.02.05 |
매억남 라이브 리뷰(25.01.31) (1) | 2025.02.04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2.01) (0) | 2025.02.03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1.19) (1) | 2025.02.0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