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방송

- 파동이 12345가 아니고, 121234545가 나올 것 같다. 말했었다.

- 숏 진입했고, 첫 번째 익절 구간에서 익절 했고, 나머지 반은 홀딩했었다.

- 다시 올랐을 때 추가 숏 들어갔다.

- 보통 첫 익절 구간은 첫 매물대의 하단 구간에 걸어놓는다.

- 두 번째에는 익절구간까지 오지 않고 올라갔다.

- 1 파동 - 러닝플랫 ABC - 5 파동 나왔다고 봤었는데, 더 올라갔다.

- 여기서 조정받고 다시 올라가면 연장 파동으로 볼 수 있다. 1 - 2(러닝 플랫) - 3-1 3-2 3-3 이런 식으로 많이 올라가는 파동

- 다시 올라가면 상승 파동이니까 롱으로 스위칭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었다.

- 방송 직전에 파동을 다시 보니까 헷갈린다.

- 파동 카운팅 때 시간 봉으로 크게 보다 보면, 잘 안 보이는 구석이 있다.

- 이 구간을 대충 보면 연두 12345로 볼 것이다.

- 그런데 15분 봉으로 보면, 12345로 보기에는 옆에 작은 파동이 하나 더 있다.

 

- 주황 12(12345 연두) 45의 5파가 연장되어서 노랑 12 12345 45로 올라갈 줄 알았다.

- 그래서 롱 홀딩하고 있었는데, 이 구간(라인)이 무너져서 롱 익절했다.

- 5파가 연장이 되었는데, 5 파동의 12-12345-45에 숏을 진입하려고 했다.

- 5 파동의 3 파동이 끝나고, 조정이 오는 것은 맞는데, 조정이 너무 딥하게 나왔다.

- 1파 고점과 4파 저점이 만나지는 않았지만, 보통 618에서 반등을 주고 올라가는데, 깨고 내려왔다.

- 보통 12-12345-45에서 큰 4파의 크기가 피보나치 618을 뚫고 내려가지 않는다. 보통. 

- 이것은 파동이 끝났다고 봐야 한다.

- 그렇다면 이 파동 카운팅을 어떻게 하면 되는가?

- abc로 올라갔다고 보면 된다. 

- 그렇다면 12-12345 - 4 파동 이후 5 파동이 abc로 올라가 12345 엔딩 다이아고날(밑에서 다시 이야기하겠지만, 발산형)로 나온 형태로 보면 맞아 들어간다.

 

 

 

일반적으로 엔딩 다이아고날은 볼륨이 줄어야 한다.

- 모든 삼각 수렴은 볼륨이 줄어야 한다.

- 삼각 수렴이 위로/아래로 향해 있는 것도 있다.

- 한 가지만 볼륨이 줄지 않는다. 익스펜딩형(발산형)이라면 볼륨이 늘어난다.

- 현재 나오고 있는 모양이 아까는 엔딩이라고 말했지만, 발산형으로 볼 수 있다.

- 익스펜딩으로 보면 볼륨도 느는 게 맞다.

 

 

 

- 상승된 한 파동은 끝났다. 왜? 카운팅상 ABC가 완벽하다.

- 세 구간에 저항대가 있다. 그중 매물대가 가장 많고, 피보나치상 0.5구간의 시작점에 와있다.

- 이 매물대에 맞고 조정을 시작해도 괜찮은 자리다

- 이 조정이 한 번에 내려가기보다, 떨어지더라도 다시 반등 0.5구간 이후 하락하지 않을까 싶다.

- 한 파동이 끝났으므로, 조정 후에 반등이 오더라도 떨어지고, 또 떨어져서 0.5구간 매물대구간까지 하락하는 그림이 정석적이다. (ABC로 올라가는 그림)

 

 

 

다른 한 가지 시나리오(상승 시나리오)

- 지난 방송 상승 시나리오와 똑같다.

- 12-12345-45 이후 조정 이후 다시 큰 상승

- 이런 시나리오가 있긴 하지만, 조정 시나리오가 더 확률이 높다.

 

 

 

그에 맞는 전략 1

- 첫 번째 시나리오에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단기 고점이 형성되었다고 생각한다.

- 숏 전략이 맞다고 본다.

- 매억남은 숏에 못 들어갔다. 조정 후에 한 번 더 오르면 숏에 들어가려고 그랬다.

- 다시 올라오면 반등 자리에 숏을 들어갈 것이다.

- 전고점을 넘기지 못한다는 관점이므로 손절라인은 전고점이 될 것이다.

- TP는 0.5구간인 자리이며, 1차 반익절 라인은 첫 매물대 구간.

- 매물대 라인까지 abc로 떨어지면 숏 익절 이후 반등 왔을 때 다시 숏 진입하면, 수익을 많이 벌 수 있다.

- 손익비도 좋은 자리다. (반익절까지는 아쉽지만, TP까지는 괜찮다.)

 

 

 

전략 2

- 첫 번째 시나리오는 abc - 반등 - abc로 하락하는 시나리오라면,

- 두 번째 시나리오는 임펄스로 올랐다가 abc로 조정 - 임펄스로 재차 상승하는 시나리오다.

- 그런데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상승에 대한 618 지점이 첫 번째 시나리오의 1차 익절 구간과 일치한다.

- 공통 구간이 생긴다. 첫 번째 시나리오와 두 번째 시나리오는 하락에 대한 공통 구간.

- 매억남이 제일 좋아하는 구간.

- 지난번 방송에서도 숏을 보다가, 뚫리면 롱 전환하자고 말했었다.

- 그것과 비슷하게, 지금도 숏 확률이 높으니까 숏을 일단 유지하다가 뚫리면 롱 전환해도 된다.

- 찐 상승 시나리오가 맞다면, 여기서 롱 진입해도 충분하다.

 

 

15분 봉 보면 5 파동 하락이 정확하게 나왔다.

- 단기 고점이 맞다는 것에 좀 더 무게가 실린다.

- 왜? 상승 파동의 카운팅이 명확하고, 하락 파동의 임펄스가 또 명확하다. (535 abc 조정을 말하는 듯하다.)

- 1234(삼각수렴) 5. 3, 5 파동에서 다이버전스가 걸려있다.

- 현재 롱 진입한 상태.

- 숏 하기 좋은 자리

- 전에 올라가려 했지만 실패했던 자리이기 때문에 부담되는 자리.

- 헤드 앤 숄더로도 볼 수 있다.

- 볼륨도 헤드 앤 숄더 패턴과 비슷. (? 이상한데?)

- TP는 넥라인부터 헤드만큼 하단에서

- 헤드 앤 숄더는 잘 안 나온다.

 

 

 

 

 

정리

- 메인 관점은 숏

- 파동상 a-b(러닝플랫)-c(5 파동)이 완벽하게 보이고

- 현재 단기간 떨어지는 하락 파동이 임펄스 파동이었다. (그러면 앞으로의 조정이 535 abc라는 말인가?)

- 올라간 c 파동이 abc로 조정올 확률이 높다. 따라서 반등 왔을 때 숏 진입할 것이다.

- 1차 반익절(매물대 자리), 손절라인 전고점.

- 이대로 반익절 했다면, 올라가더라도 손해가 아닌 자리가 된다.

- 이대로 떨어지게 되면, 더 큰 수익을 얻는 구간

- 올라가면, 앞 구간이 12- 3-1 3-2인 것으로 해석하고 더 롱으로 전환 이후 더 큰 수익을 볼 수 있다.

- 유연하게 대처하면 된다.

- 그런데 아무런 호재도 없는데 이렇게 불장으로 올라가는 게 의구심이 있다. 시장에 그런 힘이 남아있을까.

현물 관점

- 무슨 코인을 샀건, 빨간색 지점에서는 최소한 30%는 매도할 것 같다.

- 그렇지만 떨어진다고 해도 저점은 잘 뚫지 않고 올라갈 것이라고 본다.

- 하락 파동이 이렇게 길고 컸는데, 반등이 382 맞고 또 떨어진다고 하는 것은 미친듯한 약세장이기 때문에.

- 매매 잘 안 하는 사람들은 0.5구간까지는 그냥 들고 있는 게 맞다.

 

 

 

2018년 여름

- 2017년 2만 달러 찍고 미친 듯이 빠진 저점.

- 여기서부터 기대를 많이 걸었다. 12345가 나왔고, 찐 상승 간다는 관점.

- 매억남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 이렇게 한 파동, 한 파동이라서 1, 3 파동이 나왔고 한 파동이 더 나와야 5 파동 이후 조정 abc다.

- 지금은 그냥 abc라고 생각했다.

- 의견이 갈렸었던 때.

- 왼쪽으로 카운팅 하는 것이 엘리엇 파동이론에 위배되는 것 없다.

- 그런데 틀렸다. 그래서 과거 차트를 돌려봐야 한다.

- 이 구간이 임펄스라고 볼 수 있는 직관이 있어야 한다.

- 한 추세가 한 파동이다. 무조건. 이 추세가 직관적으로 보여야 한다.

 

 

 

 

 

 

메이저 1파가 3-1파 보다 커야 하지 않나요?

- 꼭 그렇지 않다.

-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규칙에는 없는 것이고, 확률상 질문하시는 것.

- 3 파동 찍고서 4 파동 되돌림이 618 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책에는 없다. 다만 통계상 그렇다.

- 1파와 4파가 만나지 않았으면 룰 위반이 아니다. 그런데 이런 모양은 보통 A(abc) - B - C 형태로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매억님 2월 4일부터 오늘까지 올라온 파동이 3파라고 하고 지금 조정이 4파라고 볼 수는 없나요?

- 그럴 수 있다. 가능하다.

- 이러면 경우의 수가 더 많아진다. 매억남은 생각 못하고 있었다.

- 이러려면 4파에서는 확실히 삼각 수렴이 나와줘야 할 것 같다.

- 2 파동 조정이 꽤 길었다. 시간도 길고 가격 조정도 컸다.

- 3 파동이 1 파동보다 크다. 2 파동은 1 파에 대한 조정, 4 파동은 3 파동에 대한 조정이다.

- 크기가 클수록 조정도 크게 온다. 그렇게 봤었을 때, 보통 4 파동은 2 파동에 비해 크고 복잡하게 나온다.

- 이 시나리오대로 가면 진짜 쉬워진다. (수렴하더니 올라간다면)

- 그럼 조정에 다 매수하면 된다. 올라가는 차트. 너무 쉬워진다.

- 왜? 저점 이후에 임펄스가 나왔다는 것은 상승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조정 이후에 다시 올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

 

 

 

위 시나리오를 포함하고, 한 번 더 정리

1. abc로 올라오면 숏 진입/ 반익절/ 역지정 손절라인 세팅

- 내려오면 홀딩

2. 618 매물대 위쪽에서 삼각 수렴을 그려서 올라가게 되면.

- 12345가 맞다.

- 추격 롱을 들어가지 말고 차라리 숏 진입

- 혹은 조정 시 롱 진입(현물)

3. v자 반등으로 오른다고 하면

- 12 3-1 3-2으로 3파가 진행되는 관점이 더 맞는 것이다.

- 그렇다면 추격 롱을 들어가면 된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