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방송
- 12-12345(abc - 12345)로 상승 파동 다 나온 것처럼 보였다. 숏 진입하는 것이 맞고 목표를 618 정도로 잡았다.
- 그런데 손절이 나갔다. 포지션은 다시 잡지 않았다.
두 가지 생각
1. 카운팅을 잘 못 했다는 생각을 했다. 한 파동의 끝이 첫 초록색 원이 아니라 두 번째구나.
- 이제는 하락을 봐야 한다. 왜? 한 파동 abc가 완성됐으니까. abc-abc-abc로 ABC를 그릴 가능성이 있다.
- 보통은 완전한 초 약세장이 아니면, 한 파동이 끝난 후 0.5구간 까지 반등이 나온다.
- 큰 하락 파동이 끝났다고 하면, 추락 하락이 이어진다 하더라도 반등 이후에 하락한다. 그리고 그 반등은 이전 하락 파동의 0.5구간은 찍는다. (무조건은 아니다.)
- 지금은 382구간만 찍고 하락 중이다. 여기서 바로 저점을 갱신할 확률도 있지만, 0.5를 찍고 하락할 가능성보다는 낮다.
- 그렇게 봤었을 때, A로 상승할 때 매물 때 쌓은 구간에서 반등이 왔다.
- 반등 이후 다시 하락할 때 높은 확률로 전체 382 구간 매물대에서 다시 반등(B가 끝나고)이 올 확률이 높다.
- 그러면 A, B 파동이 완성된다면 A, C 1:1 익스텐션으로 그어보면 아까 말했던 전체 하락 채널의 0.5구간이 정확히 나온다.
- 초 약세장이 아닌 이상 382에서 바로 저점 갱신 하락한다는 것은 굉장히 드문 일이기 때문에, 0.5구간까지는 상승할 확률이 높다고 본다.
- 이 구간은 또 매물대가 유의미하다.
- 올라갈 때, 내려갈 때 계속해서 지지/ 저항을 받던 구간이다.
2. 카운팅을 제대로 한 것이 맞다면, 이 구간은 러닝 플랫일 가능성이 크다. 이전 구간 러닝 플랫처럼.
- 카운팅이 맞았다고 하면, 1 - 2 러닝플랫 - 3 - 4 러닝플랫 - 5이다.
- 만약 이후에 abc 조정이 나오면 현물이던 선물이던 꼭 매수해야 되는 자리다.
질문. 그렇다면 지금 1 관점의 b 구간 하락을 보는 것인가요?
- 꼭 그렇지는 않다. 헷갈리는 파동 카운팅이 있다.
- abc-abc-abc로 올라가는 관점도 있지만,
- 1 - 러닝플랫 - 3 - 삼각 수렴 - 5파 이런 식으로 올라갈 수도 있다.
- 그러면 여기서는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는가.
- 크게 보면, 빠질 수도 있고, 오를 수도 있는 자리.
- 이런 애매한 자리는 확신이 없으면 걸러도 된다.
- 좋은 자리
1) 올라왔었을 때, 5파동 완성이므로 숏.
2) 떨어졌었을 때, 상승할 확률이 저점 갱신 확률보다 높으므로 롱 진입/현물 매수.
- 중립 구간에서는 매매를 하지 않고 관망하는 것도 괜찮다고 보고 있다.
- 그런데 만약 5파가 이렇게 상승을 한다면, 파동이 애매하다.
- 4파가 크기나 기간이 너무 작아서 애매하다.
- 그렇기 때문에 4파가 삼각 수렴이 확실하게 나올 경우, 5 파동이 올라오면 파동 카운팅이 확실해진다. (1 - 러닝플랫 - 3 - 삼각 수렴 - 5파)
- 좋은 매수 자리.
올라간다.
1-1 이대로 올라간다.
1-2 횡보 이후 올라간다.
떨어진다.
2-1. abc로 하락
- 그렇다면 이 매물대 위에서는 확률상으로 떨어지는 것이 확률이 높다.(2/3)
- 트레이딩 관점에서는 연두 지점에서 숏 진입이 좋다.
- 손익비도 좋다.
- 다만 조건이 있다. 1-1의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이 되어야 하는데, 이 판단에 대한 자신이 없다.
- 자신이 없으면 이 구간을 관망 추천.
1. 누가 봐도 매물대 자리
- 떨어질 때 지지 받을 확률이 높은 자리
2. 떨어지는 기울기
- 수직으로 떨어지다가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구간(2018년 구간도 비슷)
- 매도 압박이 크다가 매수 압력과 매도 압력이 동일해져서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구간.
컵 앤 핸들 패턴이랑 비슷하게 보면 되나요?
- 맞다.
- 컵 앤 핸들 패턴도 기울기 관점에서 보면 비슷하다. 기울기가 완만해지다가 평평, 상승하는 패턴.
방향은 맞췄는데, 타점을 잘못 잡아서 손절되고 가는 경우가 많다. 어떻게 해야 하나?
1. 방향은 맞췄는데
2. 타점이 잘못 됐거나
3. 손절 라인 설정이 잘 못된 경우
- 분석해서 오점을 찾아야 한다.
매억님 세부 카운팅하면서 매매하다가 2월 13일 6:30분 저점은 바이낸스는 전저를 뚫지 않았지만 타 거래소 차트는 내려왔습니다 이럴 경우 어떤 걸 참고하시는 편이신가요?
- 매억남도 거래소 여러 개 2~3개 켜놓고 같이 본다. 방송 시점 기준으로는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 이게 트레이더한테는 스트레스다.
- 어느 거래소가 맞다는 것은 없다. 파동 카운팅을 해서 어떤 차트가 더 맞는지를 보는 것이 맞다.
역지정은 본절에 거는 의미?
- 꼭 본절은 아니다.
- 최고가에 진입했다면, 본절에 할 수 있지만
- 보통은 끝 지점에 역지정을 건다.
만약 지금 러닝플랫으로 본다면 삼각수렴이 나올 수 없는 자리 아닐까요?(1:00:00)
- 맞다. 러닝 플랫으로 본다면, 고점을 넘긴 채로 삼각 수렴이 나올 수는 없다.
- 여기는 매억남도 솔직하게 잘 모르고 헷갈리는 구간이다.
(- 이 구간 말을 잘 못 했는데, 러닝 플랫이 아니라 확장 플랫구간)
매억남님 잘 보고 있습니다. 볼 때마다 사고의 범위가 늘어서 정말 재밌게 보고 있어요. 하나 질문이 있는데요. abc 파동 카운트 할 때 335 abc와 33535(마지막 c파동이 535 abc)는 어떻게 구별하나요? (335 abc와 wxy를 구별하는 방법?)
1. 335
2. 33(535) -> 결국에는 크게 333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질문을 정리하면, 335 abc와 333 abc를 c 파동에서 어떻게 구별하나요?
- c 파동에서 5 파동이 나올지, 3 파동이 나올지 어떻게 구별하나
- c 파동이 5 파동일 때, 5-1 파동이 명확히 임펄스 형태로 나오면 좋긴 하나, 첫 구간이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5 파동 형태를 잘 안 갖춘다.)
- 구분하는 방법이 있나...?(매억남이 실제로 한 말)
02-08 06:00(utc)부터 지금까지 대회기간이라고 가정했을 시에 계속 보고 계셨다면 어느 정도 예상하면서 들어갈 수 있는 좋은 단타 타점진입구간 있었을까요 많이는 아니더라도 정말 좋은 자리 서너 개 정도만 있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제일 좋은 자리는 하나밖에 없다.
- 빨간색 원형에서 숏 / 익절 구간 / 손절 역지정 자리(초록색)
- 이유는 ABC 파동 카운팅이 된다.
- A(abc) - B(abc) - C [a(abc)-b-c(12345)]로 딱 떨어진다.
- A, C 1:1 익스텐션 비율도 맞고, 5분 봉 하락 다이버전스도 맞아떨어진다.
또 하나 잡자면,
- 시간 봉, 30분 봉 상 하락 다이버전스 걸렸다.
- 추격으로 숏 매매(컨펌된 거 보고)
'코인 공부 & 매매 복기 > 매억남 라이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2.20) (0) | 2025.02.08 |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2.14) (0) | 2025.02.07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2.08) (0) | 2025.02.05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2.05) (0) | 2025.02.04 |
매억남 라이브 리뷰(25.01.31) (1) | 2025.02.0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