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숏 진입

- 618에서 반 익절, 이후 2차 익절

 

- 초록색 원형 구간에 15분 봉 상승 다이버전스 있었는데, 롱 진입하지 못했다. 왜?

- ABC로 내려왔고, C가 임펄스(연두)로 보였다. 그러면 12-12345로 내려가는 게 아닐까 싶어서 롱 진입 못 했다.

상단에서 숏도 좋은 자리였는데, 자느라 진입 못 했다.

- 한 번 더 임펄스가 완성될 것 같아서, 내려오면(초록색 원) 롱 탈 생각이었는데, 거기까지 안 내려가서 롱 못 탔다.

-올라왔을 때 숏 탔다가 전고에 약손절, 다시 숏 진입

- 익절 했고

- 반등 나올 자리, 30분 봉, 1시간 봉에서 상승 다이버전스 있어서 채널 상단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보고 롱 진입

- 그리고 익절을 빨리 했는데, 수익 극대화를 위해 스위칭하려다가 익절만 했다.

- 숏 재진입 후 물렸다가 현재 절반 익절 나가고 절반 남은 상태

 

 

 

하락 관점 유지 중

- 반등에 숏 보는 전략이 좋다.

- 계속해서 숏-익절 전략을 진행하다가 오늘 롱을 진입했다. 왜?

1. 전 매물대 구간에서 지지를 받을 것 같다. (지지 라인)

2. 채널 안에서 떨어지다가 처음으로 나온 상승 다이버전스.

- 최소한 상단 저항 라인까지 갈 것이라 판단.

- 그리고 다시 한번 올려쳐서 채널을 깨지 않을까 생각 중이다.

- 추세는 깨지면 역추세로 깨지는 것이 80%, 정추세로 깨지는 것이 20%다.

- 지금의 채널이 깨지면 위로 깨질 확률이 높은데, 상승 다이버전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채널의 마지막일 확률이 높다.

- 채널이 깨진다고 하면, 최소한 고점-저점의 0.5에서 618까지는 반등이 오니까 이 구간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본다.

- 그렇다고 하면 크게 봤을 때, 고점 찍고 횡보하며 삼각 수렴이 진행 중인 것이다.(ABCDE)

- 삼각 수렴 후 이탈 방향이 상방이라고 하면 꽤 큰 불장일 것이다. (특히 알트들)

- 비트가 고점 찍고 횡보할 때 알트가 제일 잘 오른다. 지금도 알트가 잘 오르는 중이다.

- 삼각 수렴이 하방이라면, 알트들도 상방을 멈추고 하방으로 턴 어라운드 될 것이다.

 

 

 

1분 봉에서 봤을 때 카운팅 헬이었다.

- 저점에서 30분 봉, 1시간 봉 상승 다이버전스 있다.

- 1파가 리딩, 3파가 엔딩으로 나왔다.(어디가 엔딩이라고는 정확히 말 안 했는데 아마 3의 5파를 말하는 듯하다.)

- 5 파동 카운팅 1234(불규칙 러닝플랫) -5

- 숏 진입 시점이 흰색 부분이었는데 계속 올라갔다. 고점에서 손절 누르려고 하고 있었는데 내려갔다.

 

 

 

- 개인적으로 이번에 오르면 많이 오를 것 같다. 채널을 깨는 무빙이기 때문에.

- 떨어지면 숏을 익절 할 것이고, 이대로 올라가면 손절이 날 것이다.

- 그러나 떨어지고 숏 익절하면, 롱 진입해 볼 것이다. 손절라인은 전저점인데, 여기가 뚫리면 더 크게 쏟기 때문에 여기서 손절 꼭 잡고 들어가야 한다.

- 손익비가 좋은 구간이다. 4배~5배.(대략)

 

 

 

- 결과적으로는 횡보하는 장인 것 같다.

- 특히 대회 때 횡보하면 실력차이가 별로 안 난다.

- 삼각 수렴에서는 본절의 기회가 많아서.

 

 

 

캔들 패턴(이브닝 스타)

- 양봉 - 도지(엄청 작은 캔들, 일본어로 '실수') - 덮는 음봉 나왔다. 하락 추세 전환 패턴이다.

- 완벽한 이브닝 스타 이려면 갭이 있어야 하는데, 여기서는 갭이 없다.

- 아까 했던 파동 카운팅과 이브닝 스타를 근거로 생각했다.

 

 

 

이더리움

- 모르겠다.

- 지금 시장 분위기는 이더리움이 혼자 이끌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 런던 하드포크로 인해서 소각되는 물량 때문에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거의 없다. 그래서 기관투자자들도 이더리움을 굉장히 매력적으로 보고 있다.

- 카운팅은 잘 모르겠다.

 

 

 

 

 

현재 비트코인 모양

- 고점 찍고 ABC로 떨어진 다음에 반등 이후 더블 바텀 찍었다.

- 20년도 8~9월쯤 코로나 때 3000달러 까지 빠졌다가 반등 오고 12k를 뚫으면서 불반등이 왔다. 20k 때에서 숨을 고르긴 했지만 역대 최고점을 뚫으면서 한 번 더 슈팅이 나왔다.

- 12k 찍고 조정줄 때 어떻게 줬는지를 보면, 고점 찍고 - ABC 하락 - 삼각 수렴으로 횡보하다가 올려쳤다.

- 현재 모습이 조금 다르긴 하지만, 유사하게 볼 수도 있다. 현재 시점에서 좀 더 횡보하면서 삼각 수렴 나오면 비슷하다.

- 차이점은 현재 차트는 좀 더 반등이 세게 왔다가 더블 바텀 찍은 형태라는 것.

- 반등의 크기만 다르지 비슷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BTC.D)

- 도미넌스 빠지고 있는 중이다.

- 비트가 빠지면 알트가 폭락하면서 도미넌스가 올라갈 것이다.

- 비트 도미넌스 차트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

- 비트코인 도미넌스 카운팅은 임펄스 느낌이 난다. 1-2-3-4가 나오고 있는 느낌. 5파가 나오는 시나리오라면 비트코인은 앞으로 횡보할 것(알트가 계속 올라주는 장)

- 그 쯤에 상승 다이버전스 뜨면서 도미넌스 올라갈 수 있다.

1. 비트코인 하락

- 알트가 폭락

- 비트코인 도미넌스 상승

2. 비트코인 상승(역추세)

- 비트가 횡보를 멈추고 급상승하면, 비트 혼자 오른다. 메이저 알트가 조금 따라가는 정도.

- 비트코인 도미넌스 상승

 

 

 

- 추세를 지지받았다.

- 이번에 깨지면 좀 내려올 것 같다.

- 높은 비중으로 382까지 빠질 가능성이 높은데, 익절은 안전하게 0.5에서 할 것 같다.

 

 

 

 

대회 때는 1분 봉 체크한다.

- 평소에는 체크 잘 안 한다.

- 대회니까 1분 봉까지 간절하게 체크하는 것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