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X(Bracenewcoin liquid index for bit coin)
- 비트코인에 대한 인덱싱을 차트화시킨 것.
- 가장 오래된 차트(2010년도 P2p가 처음 이루어진 순간부터 기록되어 있는 차트, 이전에는 2009년도에 블록이 만들어졌으나 그전 차트는 없다)
- 어쨌든 1달러도 안 하던 비트코인이 1000달러를 넘기는 부분을 1 파동이라고 볼 수 있다.
- 2017년도에 20k까지 갔던 것이 3 파동
- 명확한 것은 1 파동, 3 파동
- 이번에 올라온 고점이 5 파동이 끝났을 수도 있다.(10년간의 상승을 마치고 조정을 들어가는 것일 수 있다.)
- 그렇지 않고, 한 파동이 남아있을 수 있다.(큰 파동은 아닐 것 같지만)
- 매억남은 한 파동이 남아있다는 관점이었다. (5 파동이 진행 중)
- 매억남은 5-3에서 현물을 정리하고 현금화했었다. 떨어지는 파동이 618 부근(42k 부근)에서 주으려고 했었다.
- 그래서 실제로 42k~38k에 물렸었다. 저점이 30k까지 왔었기 때문에.
- 일반적으로 4 파동이 618을 지켜주기는 하지만 반드시 4 파동 조정이 618을 지켜준다는 법칙은 없다. 4 파동 조정과 1 파동 고점이 오버랩만 되지 않으면 법칙은 유효하다.
- 618을 뚫고 내려가면, 현재가 4파 조정이 아니라 이전 3 파동이라고 생각했던 지점이 이미 고점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조금 더 디테일하게 보면, 임펄스 파동이 완성된 6월 말 경, 연두색 부분의 고점 가능성에 대해 좀 더 높게 보기 시작했다.
- 그래서 반등이 올 것인데, 적어도 0.5구간(47k)까지는 반등이 올 것이라고 봤다.
- 반등 이후 하락할 것이라고 봤다.
- 매억남은 0.5구간에 다 매도했다. (매집했던 현물들)
- 현재는 연장 파동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생각보다 더 올라가는 중이다.
해석이 두 가지로 나뉜다.
1) 5-1234(삼각수렴) 5 이후 기나긴 조정(연두)
2) 4파 큰 삼각수렴 이후 5파 나왔고 지금부터 이대로 내려가는 큰 조정(주황)
- 이것을 알 수 있는 방법, 하나 있다.
- 4파가 세 번째 초록색 원에서 끝났다면 1번 관점이라고 볼 수 있고
- 그게 아니라 큰 삼각 수렴이 나온 것이라고 하면 2번 관점이라고 볼 수 있다.
- 그러므로 우리는 이 구간이 삼각 수렴인지 아닌지/ 5파의 시작점이 이곳인지 아닌지를 안다면 큰 방향성을 읽을 수 있다.
지금부터 이 구간이 삼각수렴인지 아닌지를 볼 것
- 삼각 수렴 모양은 맞다. 고점이 낮아지고, 저점이 높아진다.
- 삼각 수렴은 볼륨이 줄어들어야 한다. 여기서도 볼륨이 줄고 있다. 이것만 보면 4파가 맞았고, 65k가 5파가 맞았고 10년간의 상승이 끝났고 하락하는 관점이라고 볼 수 있다.
- 그런데 문제는 BLX를 구성하는 각각의 거래소가 문제다.
- 코인베이스 말고는 잘 안 쓰는 거래소다. 예전에 bitfinex는 압도적인 1위 거래소였다.
- 그렇기 때문에 거래량이 주는 것에 대한 신뢰도 문제가 생긴다(삼각 수렴이라서 거래량이 준 것이 아니라, 거래소의 거래량이 준 것)
- 바이낸스 차트를 보면 그렇지 않다.
- 거래량이 오히려 늘고 있다. 중구난방도 아니고 꾸준히 는다.
- 흰색 구간까지만 해도 유명하지 않은 거래소였는데 저기서부터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 그래서 우리는 선택을 해야 한다.
1) BLX 차트의 거래량이 줄었기 때문에 삼각 수렴의 신뢰도가 있다고 본다. -> 신뢰할 수 없다.
2) 바이낸스 차트의 거래량이 늘었기 때문에 삼각 수렴의 신뢰도가 없다고 본다. -> 신뢰할 수 없다.
3) 두 개 거래소의 거래량을 평균 내서 봐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전 세계 거래소들의 모든 볼륨을 집계하는 다음, 그것이 거래량이 느는지 주는지 보는 것이다.
- 그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것?
- 원래는 코인마켓캡이 그랬다.
- 그런데 1년 전 즘 바이낸스가 코인마켓캡이 인수했다.
- 그렇기 때문에 바이낸스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신뢰도가 또 낮아진다.
- 예전에는 볼륨을 본다고 하면, 전체 거래소의 볼륨을 다 더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어려운 길을 가야 한다.
- 고점부터 저점까지 임펄스로 하락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 임펄스로 하락했다면, 반등 이후 재하락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 구간을 먼저 보자
1) 시작점을 리딩으로 본다면
-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5 파동의 리딩 다이아고날로 볼 수 있다.
- 이후 2- 3 임펄스로 떨어졌고 4파(삼각 수렴)
- 5파는 1234(삼각수렴) 5으로 떨어진 형태
- 이렇게 보면 완벽한 하락 5 파동이다.
2) 만약 리딩으로 보지 않고 다르게 보면 (시작점을 리딩으로 안 본다면)
- 주황 A(연두 abc) BC로 C가 크게 나왔다고 보고, 여기까지를 더 큰 파랑 A로 보고, B가 삼각 수렴, C가 임펄스 5파로 큰 파랑 335 ABC가 나왔다고 봐도 된다.
- 하지만 매억남 기준에는 2) 경우보다 1) 경우가 더 정합성이 맞는 것 같다.
왜?
- 추세를 봐야 한다.
- 떨어지는 것이 세 추세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1,3,5로 보이고 임펄스 파동 카운팅이 맞아 보인다.
그 이후에 반등으로 조정 파동이 나온 이후에 떨어졌는데 어떤 식으로 떨어졌나.
- 1234-5 파동 연장(12345 + 엔딩 다이아고날)
- 아래꼬리가 길게 달려있는데, 왜 이렇게 엔딩 다이아고날로 봤느냐?
- 절단 카운팅을 매억남이 잘하지 않지만, 3 파동이 엄청나게 급등/급락을 해서 5 파동이 상승이건 하락이건 짧게 나올 수밖에 없는 이벤트적인 상황에서만 절단 파운팅을 고려한다.(3 파동에 한해서만)
- 이 구간도 그렇다고 판단해서 꼬리를 잘라서 엔딩 다이아고날 카운팅을 했다.
엔딩 다이아고날 이후 주황 A(abc) BC(abc)가 있었다.
- 그러면 이 구간이 4 파동이 된다.
크게 그리면 연두 임펄스가 나온다.
- 그러면 저점은 당연히 5 파 끝이 된다.
- 매억남은 하락 5 파동이 나온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반등이 오더라도 다시 하락할 것이라고 본다.(메인 관점)
- 메인 관점인 이유는 앞서 말한 것처럼 큰 삼각 수렴인지를 알면 좋은데, 코인마켓캡의 신뢰도가 떨어졌으므로, 고점부터 떨어지는 카운팅으로 그것을 판단하고자 한다.
- 파동 카운팅을 할 때 마이너 카운팅을 정확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추세를 보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
- 추세가 언제 이탈되는지를 봐야 한다.
- 매억남이 봤을 때는 이 구간에서 이렇게 추세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 그러면 12345로 보는 게 좀 더 명확한 추세다
- 하락 5 파동으로 떨어지면서 엔딩 다이아고날이 나왔고, 절단된 저점을 기준으로 불상승장을 기대하고 있는 관점보다는 정직하게 카운팅 하고자 한다.
- ABC 파인데, C 파가 연장 파동이 나오면서 좀 길게 나온 것 같다.
- 따라서 더 크게 ABC가 그려지면서 하락하는 관점으로 보는 것이 매억남의 첫 번째 관점이다.
- 이대로 갈지 안 갈지 어떻게 알 수 있느냐?
- 앞 하락이 5 파동 임펄스로 나왔기 때문에, 지금 떨어지고 있는 구간도 반드시 임펄스로 나와야 한다. (535 ABC)
- 그렇기 때문에 지금부터 나오는 하락 파동이 임펄스인지 아닌지를 보면 된다.
- 지금부터 나오고 있는 하락 파동이 임펄스가 아니라고 하면, 관점이 틀렸고, 앞 구간도 임펄스가 아니었구나로 판단할 수 있다.
- C파동이 임펄스가 나오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
- 지금 나온 모양을 기준으로 1-2-3-4로 그려보면, 4파와 1파가 오버랩되므로 임펄스가 아니다.
- 예쁜 모양의 임펄스가 나오려면 1-2- 12345- 45로 나와야 한다.
- 이렇게 흘러가는지를 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3파가 끝날 무렵에 매물대가 있어서 4파 반등이 나올 것 같고
- 5파가 뚫리면 저점 뚫리면서 패닉셀 나올 가능성 높다. (매물대 없어서)
- 아마도 5파가 연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 그러면 다음 매물대 혹은 그다음 매물대까지 빠질 가능성이 있다.
- 다만 다음 매물대는 구간이 두텁지 않고, 그다음 매물대(16k 부근)가 두텁기 때문에 거기가 지지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지금부터 나오는 모양이 1 파동은 나온 것 같고 2345가 나오면 당연한 관점이 되고
- 그렇지 않고 지지를 받고 올라온다고 하면, 하락 관점 12-12-12345-45-45는 가능성이 갈수록 낮아진다.
- 이렇게 abc로 떨어졌고, abc로 올라왔고, abc로 내려간다면 어떤 관점으로 볼 수 있느냐? (앞 하락 파동이 임펄스인 관점을 지키면서 보려면)
- 삼각수렴? 아니다. 앞 하락 파동이 5 파동인데 삼각수렴이 어떻게 나오냐. 삼각수렴이 나오려면 abc-abc-abc-abc-abc여야 한다. (삼각수렴은 33333만 있는가?)
- 올라가야 한다.
- 더 크게 12345 - ABC - 12345가 나온다.
- 임펄스 하락 이후 하락 파동이 임펄스가 안 나왔잖아. 틀렸네? 가 아니라. 임펄스 - 조정(이 조정 구간이 더 크게 나온다고 생각) - 임펄스로 볼 수 있다. (535 ABC)
- 굉장히 어렵네.
- 이 구간도 매물대가 미친 듯이 두껍기 때문에 더블 바텀이 나올 확률이 높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신뢰도가 있다.
- 5 파동 나오고 반등 나와서 ABC 완성, 다시 5 파동 완성.
- 10년간 상승했기 때문에 조정이 길어야 한다. 고점부터 현재 4월~6월로 조정이 끝난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 가격 조정도 필요하지만 기간 조정도 꼭 필요하다.
현물 관점 전략
- 단기적으로 봤을 때 이 가격을 준다는 것은 좋은 기회다.
- 불장 시나리오로 여기서 올라가던, ABC 중 C파동(스크린숏에서 빨간색 ABC) 구간만 올라도 수익이 크다.
- 그러나 더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시드 중 절반을 매수한다. 만약 더 내리면 추가로 절반을 매수한다.(초록색 원 두 구간)
- 절반만 매수했는데 오르면, 추격 매수는 하면 안 된다. 샀다가 오르면 팔아야 한다.
- 연말 불장 시나리오 사람들한테도 이 포인트에서는 공통 구간이 있다. (숏)
- 손절라인은 트렌드라인 잡으면 된다.
- 원래는 전고점을 손절 라인로 잡아야 하는데, 그러면 손절라인이 멀다. 그래서 삼각 수렴 상단에 손절 라인 잡아라.
'코인 공부 & 매매 복기 > 매억남 라이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억남 라이브 리뷰(21.12.28) (0) | 2025.01.31 |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10.04) (0) | 2025.01.30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9.20) (2) | 2025.01.28 |
매억남 라이브 리뷰(25.01.27) (0) | 2025.01.28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9.01) (0) | 2025.01.2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