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달 만에 방송
- 최근에 보면 낙폭이 좀 컸었다.
- 그런데 반등이 올만큼 왔다.
- 폭락 - 반등 왔다가 저항 맞고 다시 내려갔다. 다시 반등 이후 고점만 살짝 넘긴 채로 트랩처럼 저항라인에서 저항 맞는 중.
예전에도 고점 찍고 하락했다가 상승 파동이 나왔다.
- 상승 파동이 저항 라인 맞고 조정이 왔었고, 이 지점을 뚫으니까 신고점을 넘기는 가격까지 올라왔었다.
- 이번에도 떨어질 때 시원하게 떨어졌었는데, 같은 라인에서(예전 저항라인과 같은) 올라오다가 저항 맞고 있다.
- 이 라인을 깨야 다음에 의미 있는 가격이 될 것 같다.
- 여러 번 반등에서 저항을 맞고 떨어진 자리. 올라갔다가 떨어질 때도 지지받았던 자리이기 때문에 가격 추세에서는 의미 있는 라인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최근 구간에서 추세가 있다
- 개인적으로 여기서는 수익을 냈어야 하지 않는 자리다.
- 올라간 이후 채널 형성후 추세로 떨어졌다.
- 늘 이야기하지만 채널은 대부분 역추세로 깨진다.
- 또 손익비상으로 역방향 예측이 더 손익비가 좋다.(손절도 짧게)
- 연두 작은 abc를 그리면서 큰 주황 ABC로 떨어진 자리다.
- 그렇기 때문에 채널 하단자리이면서, ABC 카운팅이 끝나는 자리에서 롱 진입하기 좋다.
- 시간 봉 상승 다이버전스도 나오는 자리다.
- 롱 포지션 걸어놨었는데, 체결이 안 되고 올라갔다.
- 매억남이 기다린 것은 수렴을 기다렸다.
- 그래서 수렴 하단 자리에 롱 포지션 걸어놨는데, 또 올라갔다.
- 너무 뻔히 보이는 두 자리를 놓쳤다.
올라갈 때 추세로 올라갔다. 현재 저항 라인을 깨면, 위에 있는 저항 라인까지는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 파동이 끝난 것이라고 했었을 때, 382까지 밖에 못 찍었다. 최소한 0.5나 618까지는 갔다가 내려가는 시나리오
- 그런데 고점만 찍고 페이크 형식으로 떨어지고 있다.
- 그래서 헷갈리는 자리가 온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다른 자리
- 초록색 원 자리. 올라가다 말고 떨어졌다.
- 크게 추세 이탈 했다는 생각이 잘 안 든다.(러프하게)
- 채널 추세 하단 자리이고, 반등이 오면 시간 봉이나 30분 봉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있는 자리다.
- 이 자리가 좋은 자리이지 않았나 싶다.
- 현재 고점에서 하락 다이버전스가 있다.
- 초록색 지점에서 시작한 추세가 이 지점에서 끝나고 하락하는 것이 아닌가.
- 피보나치 찍어보면, 0.5구간까지 떨어졌는데 모양이 꼭 임펄스로 떨어지는 것 같다.
- 현재 차트 상 매매하고 싶은 자리
- 초록색 원 구간에서 롱 포지션 들어가고 싶다.
- 처음에 말했던 중요한 가격대 구간이다. (앞 구간에 저항/지지가 많았고 바로 직전에도 올라갔다가 지지 나온 자리)
- 그 말은, 지금부터 떨어지더라도 반등이 있고 떨어질 자리.
- 매물대 지지 저항 관점에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꽤 있는 자리다.
- 무작정 롱 포지션을 받지는 않을 것이다.
- 현재 삼각 수렴이 나오고 있는데, 수렴이 완성되고 떨어지면 5파 완성되면서 반등 나올 자리라고 보인다.
- 30분 봉 보게 되면 떨어지다가 반등이 나오면 반드시 상승 다이버전스 걸리는 자리다.
- 그러면 단기 반등 아무리 못 나와도 떨어지는 파동 대비 382구간까지는 나온다고 보인다.
- 382(49.7k)까지 아니더라도 매물대 구간까지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삼각 수렴 쌓은 상단)
- 볼륨이 의미 있게 터졌다.
- 떨어질 때 잘 안 터지다가, 이 구간들에 볼륨이 터졌다. 매수가 단기적으로 들어온 자리가 아닌가 싶다.
1. 매물대 지지 저항 관점
2. 반등 나오면 상승 다이버전스 나올 자리
3. 카운팅 상 1234(삼각수렴) 5
4. 떨어질 때 볼륨이 안 터지다가 이후 터진 볼륨. (매수세가 있지 않나)
위 세 가지 근거들로 인해 단기 반등은 충분히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보인다.
매억남의 습관
- 단기 투자를 당연히 봐야겠지만, 지엽적으로 보기보단, 장기적 관점을 꼭 봐줘야 한다.
- 과거 차트 볼 때는 비트 스탬프 거래소가 제일 좋다. 2012년부터 거래를 했던 거래소.
- BLX(brave newcoin liquid index). 2010년 말부터 비트코인의 거래를 기록한 인덱스 차트.
로그 차트상
- 2013년 말까지 3~4년간 올라온 것이 첫 상승 파동.
- 15년도부터 17년 말까지 상승한 것이 3 파동
- 19년도부터 또 한 3년 정도 상승한 것이 5 파동.
- 가격 상승은 지금 상승이 제일 컸던 것 같다.
- 세 번의 상승이 있었기 때문에 5 파동이 나왔거나 나오는 중에 있는 것 같다.
- 시즌이 끝났다기보다 곧 끝날 것이다.
일반 차트 상
- 12345 파동 다 나온 것 같다.
- 이렇게 보면 끝났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 아니라고 보는 사람도 있다.
시중의 세 가지 의견
1. 5파로 끝났다.
- 2010년부터 2021년 말까지 11년 동안 상승했는데, 조정이 와야 한다.
2. 5 파동이 연장될 것이다.
- 시장에서 갈수록 큰돈이 들어오고 있다.
- NFT며 디파이며. 이렇게 까지 코인 시장이 가치를 인정받고 돈이 들어오는 시절이 있었냐?
- 최소한 150k까지는 가지 않겠느냐.
3. 엔딩 다이아고날
- 이 구간이 임펄스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ABC로 보인다.
- 하단 지지라인이 깨지지 않으면 엔딩으로 보인다.
- 거래량도 감소하고 있다.
- 이렇게 나오다가 하락할 것이다.
세 가지 관점 중 어떤 것이 정확도가 높으냐?
- 매억남의 주점은 150k는 아니라고 본다. 가면 좋겠지만. 매억남은 알트 코인 현재 물려있다.
- 대략 1번 관점이 40%, 2번 관점이 35% 3번 관점이 대략 25% 정도로 보면 딱 맞지 않을까 싶다.
단기 관점
- 이 구간에서 롱 포지션 진입하면, 이 정도 구간에서 손절 라인 잡을 것이다.
- TP는 아마 최소 삼각수렴 고점 매물대이거나 무난하게 간다고 하면 382구간이라고 보인다.
- 만약에 여기서 떨어진다고 하면, 15분 봉상 연두 구간 파동이 쪼개지지 않아서 임펄스인지 아닌지 가늠하기 어렵다.
- 그런데 마지막에 수렴이 나오고 짧게 떨어졌다가 반등이 나온다고 하면, 비트 코인 차트 상에서는 연두 구간이 임펄스일 확률이 70% 이상이다.
- 그래서 이 구간이 임펄스라고 보면, 크게 ABC(535)로 떨어질 확률이 높다고 보인다.
- 이것만 보면 안 된다. 추세를 봐야 된다.
- 하나 헷갈리는 것이 있다.
- 이렇게 추세를 긋는 것이 맞느냐는 의구심이 있다. 왜냐면 이렇게 그으면 파동 카운팅이 좀 이상해진다.
1) 고점을 앞으로 보는 관점
ABC 상승 - 하락 이후 신고점 돌파 시나리오
- 고점을 빨간색 원으로 보면 카운팅이 너무 깔끔하다.
- 빨간색 ABC로 상승한 것이고, C를 노란색 abc로 보면 된다.
- 이렇게 카운팅 하면 ABC로 떨어졌다가 신고점을 돌파하는 상황이 된다.
2) 고점을 뒤로 보는 관점
- 그런데 고점을 여기가 아니라 추세의 상단이라고 보면(빨간색) 파동 카운팅이 지저분해진다.
- 이 구간을 ABC로 보기가 어렵다.
- 딱 봐도 ABC로 나온 것 아니냐?
- ABC의 조정 파동 B가 소파동인 abc 내에서의 b보다는 일반적으로 더 크다.
- 따라서 위 연두처럼 카운팅을 하면, 두 번이나 이례적이다.(B 파동이 대파동인데, A의 b파와 C의 b파보다 작다.)
1) 번 시나리오로 ABC로 올라가거나(60%)
2) 번 시나리오로 ABC로 내려가거나인데(40%)
- 이 정도 확률은 애매한 확률이다. 60% 확률로는 트레이딩 하기 어렵다.
- 단기적인 트레이딩에는 상관이 없다.
- 공통 구간이 있다.
삼각 수렴에서 짧게 내리는 것 어떻게 예측했나요?
- 비트코인에서 흔히 나오는 패턴이다. 과거 차트를 보면 알 수 있다.
- 또 네 가지 근거를 기반으로 말했다. 다 참고해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시즌종료 되면?
- 복합 조정 와서 힘들지 않을까.
- 가격도 가격인데, 기간 조정도 있다. 10년을 한 상승에 대한 조정은 2~3년은 할 것이다.
- 누가봐도 반등 올 자리(매물대 엄청 두껍다)에서 올라간다 하더라도 떨어지지 않을까.
- wxyxz(abcde)로 수렴하지 않을까. 결국에는 엄청 떨어질 것이다.
- 시즌 종료라도 선물 트레이더는 상관없다. 현물 트레이더는 어려울 것.
시드가 커지면 커질수록 어려운데, 어떻게 하면 좋나요? 팁
- 1억이라는 한계에 부딪히면, 1억되면 출금해라.
- 사람은 자신이 소화할 수 있는 금액이 있다. 음식처럼.
- 1억을 계속해서 출금하면 통장에 1억씩 계속해서 찍힐 것이다. 그러면 자신감이 생기고, 안정감이 든다.
- 1천만원을 계속해서 1억을 불리는 챌린지를 계속하는 사람인데, 천만원을 잃어도 통장에 있는 1억으로 안정감이 생기고 다시 시작할 수 있다.
- 이렇게 하다보면, 자신감이 붙고 트레이딩이 잘 되면 조금씩 시드를 늘려보면 된다.
- 출금을 해라.
'코인 공부 & 매매 복기 > 매억남 라이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2.01) (0) | 2025.02.03 |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1.19) (1) | 2025.02.01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10.04) (0) | 2025.01.30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9.21) (0) | 2025.01.29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9.20) (2) | 2025.01.2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