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방송
- 숏 진입한 상태였고, 여전히 숏 관점이었다.(빨간색 진입, 초록색 방송시점)
- 그런데 폴링 웻지가 나오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었다.
- 15분 봉상 지지를 받으면 반등이 나올 자리(상승 다이버전스)
- 폴링 웻지이기 때문에 피보나치 상으로 최소한 0.5구간까지는 올라갈 것 같다고 이야기했었다.
- 다만 폴링 웻지의 고점을 넘기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
- 숏은 방송 때 약 익절 했었다.
- 올라오면 다시 숏을 칠 예정.
- 올라왔었을 때 숏 재진입했다.
- 현재 또 반등이 나오고 있다.
- 단기적으로는 폴링웻지 + 상승 다이버전스 분석이 맞아떨어졌다.
- 전고가 타이트하기 때문에 하락하면 최소한 ABC는 나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 혹은 매물대 하단 부근까지.
- 그렇기 때문에 손절라인은 전고점으로 잡았다.(지난 방송에서도 언급)
- 손익비가 좋은 구간이다.
- ABC가 나오는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초록색 원 구간에서 반등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60% 익절.
- 15분 봉상 상승 다이버전스도 있다.
- 또 떨어졌었을 때, 매물대 하단 구간에 15분 봉 상승 다이버전스가 또 있다.
- 다이버전스가 있다는 것은 떨어진 한 파동이 끝나는 것.
- 시간 봉상으로도 다이버전스가 있다.(저점은 상승했는데, rsi는 내려간 경우 : 히든 다이버전스)
- 그래서 남은 30%도 익절.
차트 분석
- 빨간색 원 시점이 최고점이 맞고, 하락의 시초가 되는 좋은 자리였다고 하면, 하락 임펄스가 하나 정도는 나와주고 시작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있다.
- 그런데 떨어질 때 모습이 웻지가 나왔다.
- 임펄스라면 리딩 다이아고날로 볼 수 있다.
리딩이라면 1 - 2 - 3(1-2-3-4-5)로 빨리 빠졌기 때문에 수렴으로 4파가 나오고 5파가 나온 후 반등이 나오는 그림이다. (큰 연두 파동) 이게 정석적인 그림이다.
- 이게 포멀하게 안 나오고, 리딩으로 나왔고, 떨어질 때도 임펄스 같지(연두 구간. 두 번째 연두 구간은 애매)가 않다.
- 보통 급등/폭락할 때 나오는 특징 (카테고리 : 기타)
- 지지를 받을 자리(다이버전스, 매물대 등등)들을 철저하게 무시하고 계속 급등/폭락하는 것이 진정한 급등/폭락장이다.
- 그런데 이 구간에서는 단기 반등 구간들에서 반등이 잘 나왔다. 생각보다 급락장으로 가기는 힘들겠다고 생각 중.(숏의 분할 익절도 그에 대한 대응)
- 급락을 위한 전제조건은 하나 남았다.
- 현재 구간이 더 큰 리딩 다이아고날을 그려서 123(abc) 4 (abc) 5 (abc)으로 큰 1파가 완성되고 2파 조정(하얀색 원 부근까지) 이후 큰 하락 3,4,5파.
- 대충 전 매물대 구간과 3파 끝점, 4파 끝점, 5파 끝점이 대충 맞아 들어간다.(매물대와 카운팅 분석이 맞아 들어가는 부분)
- 그렇기 때문에 지금의 웻지가 나온다면 급락의 조건을 맞아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 단기 추세 지지선이기도 하고,
- rsi에도 추세 저항이 있다.
- 그렇기 때문에 가격적으로 단기 추세 지지선을 맞고 꺾이면, rsi도 추세 저항을 맞고 꺾일 것이다.
- 그리고 떨어졌을 때, 단기 추세 지지선을 맞고 오르면, rsi는 아마 과매도 구간으로 넘어가지는 않을 것이다.
- 그러면 가격도, rsi도 위로 올라가는 반등이 나올 확률이 높다.(상승 다이버전스)
- 지난 방송 시점에서 숏을 익절 한 구간과 비슷하다. (폴링 웻지 + 5파 나오고 상승)
여기서 폴링 웻지라고 해서 리딩 다이아고날이라는 보장은 없다.(12345라는 보장 없다.)
- 숏턴 것은 깨고 올라갈 수도 있다. 손절라인은 전고점. 익절라인은 3파 끝점. 손익비가 괜찮다.
무튼 폴링 웻지가 완성되는지를 볼 것이다.
- 그때까지는 숏 포지션 홀딩
- 상승 다이버전스 나오면 롱 스위칭. 올라가면 익절 후 숏 스위칭
- 손절라인은 하단 지지라인과 전고점 라인
- 만약에 이것을 뚫고 그냥 오르면, 이미 상단 지지라인에서 역지정 걸어놨기 때문에 존버하지 않는다.
- 손절 이후는 관망할 것이다.
- 지난번 숏 관점 때 숏이 틀렸을 때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해서 말했었다.
- 저점이 절단되어서 빨간색 지점이 아니라 초록색 원형 지점으로 본다면, 상승 관점이 열린다.
- 위를 뚫어주게 되면 수정된 저점 기준으로 1 - 2 - 3(1 - 2 - 3 - 4 - 5)로 뚫어줄지도 모른다. 이렇게 되면 상승 3파로 큰 슈팅이 나올 것이다.
위를 뚫어주게 되면 두 가지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1. 올라가는 파형이 임펄스여야 한다.(abc로 올라가면 안 된다.)
2. 강하고 빠르게 올라갈 것(왜? 상승 3파는 항상 강하고 빠르게 오르기 때문에)
- 이 두 가지 전제조건이 맞아 들어가면 매억남은 보유한 현금을 모두 현물/선물에 투자할 것이다.
- 처음에는 알트는 못 쫓아오지만, 비트가 오르고 나면 알트가 따라 오르기 시작한다.
보통 찐 상승 3파가 나오면 탑승 기회를 안 주고 1자로 오른다. 그러면 따라 들어가기 힘들 수 있다.
- 그렇다면 3파가 끝나고 조정 주는 4파 시점에서 선물 매수를 할 계획이다.
선물할 때 이평선 참고하나요?
- 선물 트레이딩 때는 이평선 참고하지 않는다. 왜? 이평선은 봉마감이 중요한데, 줄었다가 내려올 때까지 기다릴 수가 없다.
- 중장기적으로 길게 볼 때는 이평선을 본다. (현물)
- 최근 20일 이평선을 뚫으면 60일 이평선까지 오르는 메타가 있었다.(디카트고, 넴, 리스크, 메타디움 등 7~8개 정도 다 수익 봤다.)
선물 거래를 하면서 왜 현물 차트를 보나요?
- 선물 거래는 휩쏘를 달 수 있다.
- 얼마 전 바이낸스에서도 선물에서 여기까지 올라갔다가 윗꼬리 달고 내려왔다.
- 선물은 휩쏘가 많고, 역지정으로 가격이 밀림으로써 꼬리가 잘못 형성되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고점에서 내려오는 게 하방웻지 조정이라고 봤을 때 3-2파인데 소파동 조정치고 상위파동인 2파의 조정크기보다 커서 사실상 하방 가능성인 리딩으로 보는 게 더 높아보아 보이는데 이게 맞는 생각일까요?
- 질문 수준이 높다.
- 하위 파동의 조정의 크기는 상위 파동의 조정 크기보다 작다.(100%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 질문 내용 : 상위 파동인 2 파동이 하위 파동이 3-2 파동보다 커야 하는 것 아니냐?
- 크기 비교는 피보나치 1:1 익스텐션으로 하면 비교가 쉽다.
- 2파의 고점-저점을 찍고 다이아고날의 고점을 찍으면 1:1인 지점이 나온다.
- 아직은 1:1 지점까지 떨어지지 못했다. 만약 1:1까지 온다면 크기가 같은 것. 더 떨어지면 크기가 큰 것이다.
- 1:1 자리를 넘기면 3-2파가 상위 파동인 2 파동보다 커지므로, 1 - 2 - 3(1-2-3-4-5) - 4 - 5로 상승할 확률이 거의 낮아진다.
주식, 부동산, 코인 공부한다면 어떤 걸?
- 매억남 생각
- 성장성은 코인.
- 닷컴버블 이후 110 달러인 아마존이 5달러가 됐다. 그때 버블이라고 했다. 마이크로 소프트, 구글 다 마찬가지. 이후 엄청 올랐다. 당시에 인터넷으로 무언가 한다는 이야기는 사기라고 받아들여졌다.
- 현재 블록체인에서 dapp가 돌아간다. 이더리움에서 많은 app이 돌아간다. 그중 하나도 디파이다.
- 불신이 있을 때가 오히려 기회다.
- 그러나 계속해서 변동성이 클 것이다. 잘못 투자하다가는 많은 손해가 생길 수 있는 시장이다.
- 코인의 장점 : 미래 성장성 / 코인의 단점 : 변동성, 불안정성
랜딩이 우리나라가 최초인데, 어떻게 생각?
- 랜딩 : 비트코인으로 대출해 주는 것.
- 관심 없어서 잘 모르겠다.
이평선
- 20, 60, 120, 200일 보면 좋다.
매억남님.. 3-1이라고 하셨는데.. 사실 전 지금 나오고 있는 게 3-1파 치고는 너무 길어서~ 자체를 3이 나오고 있는 형태이긴 한데 연장으로 8-6 22시 기준으로 하여서 큰 삼각수렴의 모양이 나온 거가 아닐까 하여서 거래량과 rsi를 유심히 보면서 현재 3이 나오는 부분이고.. 이게 뚫려서 올라갔다가 4 찍으러 내려올 거라..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좋은 질문
- 일반적으로 3파가 제일 길지만, 1파가 더 길 수도 있다. (3파가 제일 긴 것이 법칙은 아니다.)
- 질문 : 12345가 나오고 있는 것이 아니냐?
- 이렇게 본다면, 5파 이후 382까지는 빠질 테니까 현재는 숏 자리이다.
- 그런데 다른 관점에서 여기 숏 타점은 매우 위험하다.(다른 타점에서는 3-3 올라갈 자리이므로) 매매를 하지 않는 게 맞는 것 같다.
- 모든 매매는 손절라인을 정하고 들어가면 되지만, 이 자리는 그것도 까다롭다. 3-3은 엄청 급등하는 자리(손절라인을 정하기 전에 올라갈 수 있다.) 매억남이라면 관망할 것 같다.
- 숏/롱 관점 모두 관망.
리듀스 온니(reduce only)
- 포지션을 줄이는 기능
- 쓰면 좋은 상황이 있다.
- 빨간색 지점에서 10개 숏 포지션 진입 / 내려갔을 때 5개 지정가 주문 / 올라갔을 시 10개 손절 주문 했다고 했을 때
- 그런데 올라가서 10개가 손절이 나갔다. 그런데 쭈욱 하락해서 5개 주문(롱이 주문)이 들어가 버린다. 이런 경우가 있다. 익절만 하려고 했는데, 포지션 종결 후 롱 포지션이 들어갈 수 있다. 이럴 때 reduce only로 익절에 5개 주문해 놓으면, 올라갔다가 내려가도 내 포지션이 새로 체결되지 않는다.
- 분할 익절이건 익절 할 때, reduce only를 걸어놓는 습관을 가지면 좋다.
- 한 달에 한 번 정도 나오는 상황이다.
바이빗 테더마켓은 다르다.
- 포지션을 줄이려면 포지션 청산에서만 눌러야 한다.
- 조건부주문(역지정)도 포지션 오픈에만 있고, 포지션 청산에는 없다.
- 왜 BTCUSD 시장과 BTCUSDT 시장 UI가 다른지 이해할 수 없다.
BTC를 가지고 매매를 하면, 인버스 마켓.
USDT를 가지고 매매를 하면, 테더 마켓.
차이
- 롱 장은 BTC 장에서 먹는 것이 좋다. BTC를 가지고 롱을 진입해서 수익을 했는데, 롱 장이니까 BTC 가격과 개수가 모두 증가. 하락장에서 BTC 숏을 먹으면 개수는 늘어나지만, 가격은 하락해서 상충된다.
- 테더 마켓은 그 반대.
- 그러나 큰 차이는 없다. 굳이 따지자면 그렇다는 것이다.
'코인 공부 & 매매 복기 > 매억남 라이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8.24) (1) | 2025.01.25 |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8.19) (0) | 2025.01.24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8.15) (0) | 2025.01.22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8.12) (0) | 2025.01.21 |
매억남 라이브 리뷰(25.01.19) (0) | 2025.01.2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