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시관점 정리
- 비트코인의 탄생 : 2009년도
- 비트코인 거래의 시작 : 2011년도
- 옛날 최고점 : 20000달러(2018년). 첫 번째 가장 큰 상승,
- 이후 급락이 있었다. 1년 넘도록 하락(3000달러대까지)
- 그 이후 14000달러 까지 상승(2019년 여름)
- 코로나 이슈(2020년 3월). 쌍바닥 더블바닥
- 그 이후로는 줄곧 상승(방송 시점 21년 4월)


파동관점
- 2018년의 큰 상승을 메이저 1파
- 이후 큰 하락을 2파
- 현재가 3파가 진행중인것으로 보인다. 4파와 5파가 남은 상황.
- 현재는 메이저 3파가 안 끝났고, 3-3도 나오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 이번에 신고가가 갱신되면, 시장의 분위기는 좋겠지만, 4파가 나와서 조정이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후 5파가 나와서 찐고점으로 갈 것 같다.(8~9만대까지)
- 한 번에 올라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5파동이 연장이 나오는 경우가 그렇다. 그러나 3파동이 벌써 크게 나왔기 때문에, 아마도 5파는 연장되지 않을 확률이 높으나, 지금 단계에서는 알 수 없다. 만약 5파동이 나온 이후에 또 다시 상승한다고 하면 그 때 알 수 있다.



현재는 상승 3파의 3파가 마무리되려는 것 같고, 마무리의 단계가 엔딩다이아고날 관점
- 엔딩 다이아고날에서는 필수로 볼륨이 줄어야 하는데, 볼륨도 줄고 있다.
- 이 분석이 틀렸을 수도 있다. 그럼 언제 이 분석이 틀리는 것을 확신하는가? 하단 트렌드 라인을 이탈했을 때. 그러면 상승은 끝이 났고, 45k까지 빠지겠구나를 바라볼 것 같다.
- 만약 트렌드 라인 이탈 후, 하락하다가 반등이 오더라도 올라갈 것이라고 보지 않고, 추가 하락을 위한 반등이라고 보는게 현명하다.


지난 번 방송에서 반등이 나올 것 같다라고 했는데, 현재 반등이 나왔고 상승 중이다.
(상승 다이버전스, ABC 조정 파동완료, 하방 트렌드라인 지지, 폴링 웻지. 전매물대, 피보나치 0.5구간, 타이트한 손절라인)



현재는 단기 숏 포지션으로 전환했다.
- 고점 이후 조정이 왔었고, 반등이 왔지만 조정. 현재도 반등이 왔지만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하락 트렌드를 벗어나지 못했다.'
- 만약 상방 트렌드 라인(하락 추세의)을 돌파한다면, 신고점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 반대로 하방 트렌드 라인을 돌파하면, 계속 하락이 나올 확률이 높다.
- 보통은 바닥이 나오고, 고점을 깨러 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자리에서 조정을 준 다음에 다시 상승을 하는 경우가 많다.
- 그냥 떨어졌다가 v자반등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중기 롱 관점을 가지고 있지만, 여기서는 상방 트렌드 라인에서 지지- 조정을 받고 올라갈 확률이 높다.
- 그래서 매억남은 수익의 극대화를 위해서 상방 트렌드 라인에서 숏 포지션.



영원히 지속되는 채널은 없다.
- 채널은 언젠가는 깨지게 되어있다.
- 채널이 깨질 때는 채널의 방향대로 깨는 것은 별로 없다. 채널의 반대로 깨는 것이 대부분이다.
- 이 채널도 상승 트렌드 라인을 깨기 전에 언젠가는 추세를 이탈했다가 다시 새로운 채널로 올라갈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이 채널은 언제 깨지느냐?
- 보통은 채널의 끝에서 다이버전스가 생기고 채널이 깨진다.
- 15분 봉에서 하락 다이버전스가 형성 되어 있다. 그렇다면 조정 이후, 이전 매물대 구간에서 다시 지지 받은 이후 올라갈 확률이 높다.
- 숏 포지션 정리 : 하락 트렌드 라인의 상방 저항 + 더 작은 타임프레임에서 상방 추세에서의 15분봉 하락 다이버전스
- 숏 분석이 틀릴 수 있다. 그래서 숏 본절 스탑로스를 걸어놨다.
- 그렇다면, 롱은 타지 않을 것이다. 롱은 이미 타점을 놓쳤다.
- 하지만 숏 관점에서 더블 다이버전스가 생기면 다시 숏을 들어갈 것 같다.

지금 숏은 피보나치나 상승 다이버저스로 TP정할 건가요?
- 어디까지 떨어질지 예측 어렵다.
- 보통은 최소한 382 정도는 찍어주는 경우가 많다. 최소 TP를 여기로 찍을 수는 있으나, 정확한 것은 시간이 지나봐야 안다.
- 파동 모양도 봐야 하고 기타 여러 것들을 봐야 알 수 있다.
- 차트는 대응을 할 줄 알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방송을 보고 따라 하려 하지말고, 어떻게 차트 분석을 하고, 왜 사고 팔고 하는지를 보고 배워라.

리플은 고점에서 거래량이 터진걸로 봐야할까요?
- 거래량이 있긴 하지만, 이전 거래량에 비해 부족하다.
다이버전스
- 과매수/과매도 까지 간 것만 봐야 한다. 뉴트럴 구간에서 보는 것은 무의미하다.

임펄스 5파 이후 조정에서 러닝플랫 or 확장 플랫이 왔었을 때 피보나치 비율을 어떻게 보나요?
- 잘 기억이 안 나는데, 확장 고점이 아니라 임펄스 5파 고점을 기준으로 피보나치를 찍어봤던 것 같다. 그리고 그게 맞았던 것 같다.
1분봉에서 4시간봉까지 다이버전스가 하나만 나오면, 타당한가요?
- 다이버전스만으로 차트를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것들과 섞어 봐야 한다.
- 만약 차트 분석을 함께 하는데 한 타임프레임에서만 다이버전스가 나와도 되냐는 질문이면 그건 괜찮다.
- 하나만 나와도 된다.
알트 코인 고르는 기준?
1. 믿을만한 기업과 협업/투자하는 코인(대기업 관련 코인)
2. 차트로 고르는 방법 - 저점 매집, 박스권 유지, 상방 박스권 돌파시

현재 시점에서 비트코인 하락장 볼 수 있나요?
- 하락 지지선을 이탈하게 되면, 큰 하락장이 올 수 있지만, 아직은 하락장을 걱정할 단계는 아니라고 보여진다.
- 그렇다고 신규매수하라는 것은 아니다. 지금은 올라가는데로 현금 비중을 높일 단계.
어떻게 빨리 성장했는가?
- 틀렸을 때, 왜 틀렸는지를 꼭 알아라.
- 틀리는 이유가 10개 안으로 추려진다.
- 꼭 그것을 추리고, 그 실수를 하지 마라.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마라.
3파 끝나고 4파 조정 이후 김치코인을 담는게 좋은가요? 비트코인을 담는게 좋은가요?
- 시장 상황을 봐야겠지만, 공격적인 성향이라면 알트코인을, 그렇지 않으면 비트코인을 담는게 보통.
- 만약에 알트를 담는다면, 바이낸스에서 매수해라.
- 바이낸스의 수익 창출 프로그램이 있기 때문에 바이낸스가 유리하다.
- 만약 김치코인을 산다고 하면, 꼭 앞으로 좋은 재료가 있는 것을 담아라. 아무거나 담지 마라.
차트 책 추천?
1. 엘리어트 파동이론
2. 차트의 기술
- 그러나 차트에 관련된 것 보다는 투자 마인드, 투자 심리에 대해서 기술된 책을 보는 것이 훨씬 도움된다.
- 차트 서적을 쓰는 사람들이 실력이 있는 사람도 있지만, 없는 사람도 많다.



라이트코인(LTCUSDT) 더블탑에 하락 중인 것 같은데 홀딩관점(180진입)?
- 매억남은 더블탑/ 더블바텀 관점을 보지 않는다.
- 더블탑은 더블탑 찍고 하락하는 관점인데, 생각보다 더블탑을 찍고 횡보하다가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 비트코인의 방향성 -> 알트코인 방향성. 메이저 알트일수록 더 비트코인과 같이 간다.
- 그 대표주자가 이더리움과 라이트코인이다.
- 차트적으로 봤을 때는, 그냥 올라가기보다 수렴이 보인다.
- 1-2-3-4-5가 끝난 것 같다. 물론 앞선 더 큰 파동 1-2-3이 있기 때문에 수렴하다가 올라갈 것 같다.
- 만약 나라면, 반익절 하고, 올라가면 완절 떨어지면 홀딩할 것 같다.
알트코인 100만원씩 50개 사면 어떻게 하나요?
- 나름의 ETF 전략이라서 나쁘지는 않으나 고수가 되어야 한다.
- 결국 시드가 5천만원이다. 적지 않은 금액.
- 또 이렇게 문어발식으로 하면, 피드백도 안 되고, 내가 왜 돈을 벌었는지 모른다.
- 추천하자면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처럼 메이저 코인만 3-4분할만 추천한다.
아더(ARDR)
-
보해양조 얼마까지 보시나요?
- 가격으로 투자하는 것이 아니다.
- 타이밍으로 보는 것이다.
- tp을 추측할 수 있는 종목들은 영업이익, per 등을 가지고 산정하는 종목이라면 말이 되겠지만, 테마주에는 적정 주가가 없다. 타이밍이다.
-

추세선 잘 못 긋는 경우
- 위 예시는 애초에 잘못된 추세선.
- 생각보다 추세선을 잘 못 긋는 사람이 많다.
차트 볼 때 스케일이 되게 중요하다.
- 차트를 가로로 늘려서 분석하면, 이상하게 해석된다.

샌드박스 탈출 기회 오는 것 같은데 한 번 봐주세요.
- 탈출 기회라고 하는 것 보니까, 제일 비쌀 때 샀다.
- 투자는 쌀 때 사라.
- 비트 올라오면 알트 다 반등 올 거다.


펀디엑스 바이낸스 상장했고, ETF 소각 발표 나왔는데 급등하겠죠?
- 바이낸스 상장한 것 치고는 너무 못 올랐는데, 왜 못 올랐지?
- 펌핑 바이낸스에서는 왔었다.
- 바이낸스 상장 자체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호재가 맞다. 전세계 거래소에 상장된 것이기 떄문에.
- 그러나 상장된 날은 설거지 나올 것이다. 이 볼륨이 어느정도인지 볼 필요가 있다. 볼륨의 규모에 따라 설거지가 다 된 것 혹은 덜 된 것일수 있기 때문에.
- ETF 소각 발표. -> 재료가 나왔다고 해서 오르는 종목도 있고, 그렇지 않고 설거지 하는 종목도 있다.

메탈 어떻게 보시나요? 페이코인처럼 미국에서 실생활에서 사용가능한 코인 같아요?
- 괜찮은 마인드. 페이코인처럼 실생활에서 사용하려는 가치를 보고 있고, 가격이 비싸서 못 사다가 떨어지니까 샀다
- 차트 상으로는 좋다. 흠잡을 것 없을 정도로.
- 상장 당시 매물대가 있긴 한데, 너무 옛날 매물대라 크게 의미 없다.
- 볼륨이 너무 살아있다. 반면 떨어질 때 볼륨이 너무 없다.

4/8 새벽 04시부터 상승했는데, 15시 하락 부분 카운팅해주세요(한국시간 기준)
- AB12345(엔딩)
- 차트가 예쁘지는 않다.
과거 차트 볼 때, 15분봉 ~ 4시간 차트 비교하는 게 좋은지. 아님 따로 보는게 좋은지
- 같은 시간대를 같이 비교하는게 좋을 것 같다. 시간봉마다 보이는 것들이 다르다.

웨이브?
- 윗꼬리 길고 볼륨이 많이 터진것은 좋은 것이 아니다.
- 여태까지 한 번도 터진 적 없던 볼륨이 터졌는데, 꼬리가 길다 -> 안 좋다.
- 반등 올만하니까 또 볼륨이 실렸다 -> 단기적으로 안 좋다.
- 롤링하는 작전팀이 팔았을 수 있다.
- (단기적으로)
이평선 모으기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이평선 수렴을 말씀하시는건가?
- 이평선 : 이동평균선. 30 이평선 -> 30일동안 가격의 평균이동선.
- 30, 60, 120, 200
-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보다 위에 있으면, 급등한 케이스.
- 단기 > 중기 > 장기 : 최근에 가격이 오른 케이스
- 그러다 가격이 고꾸라지면 역배열이 된다. 장기>중기>단기 -> 하락장
- 하락장이 계속되다가 이평선이 모이고, 정배열로 바뀌는 지역 : 골든 크로스
- 데드 크로스 : 그 반대(정배열이 역배열로 바뀌는 순간)

이그니스(IGNIS)? (178원)
- 윗꼬리 달고 떨어졌지만, 매집구간 볼륨에 비해서 떨어질 때 볼륨이 많이 실리지 않았다. 괜찮은 것 같다.
- 매억남이였으면 163원대(턴어라운드 지점)에서 샀을 것 같다.

애드엑스(adx)?
- 장기적으로 들고 잇을 가치가 있는가. 알지 못한다. 재료를 모르기 때문에.
- 차트만 가지고 말하자면 차트는 괜찮다.
- 상승추세 살아있고, 볼륨도 살아있다.

룸네트워크(LOOM)?
- 마찬가지다 떨어졌을 때 볼륨 없었기 때문에
- 비트코인 오르면 오를 것

다빈치(DAC)? 2월 1일에서 4월 1일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예쁜 그림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 1-2-3-4-5파연장으로 딱 그렇게 보인다.

볼륨있는 윗꼬리를 안 좋게 본다고 하셨는데, 업비트 가스는 역대급 거래량 터트린 이후 매집봉 계속 세우면서 우상향 하면서 준비하는 것 같은데 어떻게 보시나요?
- 역대급 볼륨 다음에, 다시 볼륨으로 가격 올려놨다.
- 매수해서 올려놨기 때문에 그 가격 위로 지지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이 물량이 살아있기 때문에 한 번 더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다시 말하지만, 윗꼬리 긴거는 좋아하는 차트는 아니다.


주식 세종 텔레콤(036630)?
- 세종 텔레콤은 작전으로 유명한 종목이다.
- 이전에 매집하고, 설거지할때도 볼륨 얕게 매집했는데. 이번에는 볼륨을 대놓고 터뜨렸다.
- 안 좋은 방법이다. 호재가 있나보다.
- 계단식 매집했을 수 있지만, 그건 어렵다.
- 무슨 재료가 있는지 모르지만, 좀 조정주면 살만한 것 같다.
- 작전 세력의 매집 기간이 없었거나, 작전 세력의 계단식 매집의 경우 단가가 안 나온다.
- 재료를 잘 보면 뭔가 있을 것 같다.


매집의 기준?
- 대표적인 종목 : 수젠텍(253840),
1. 가격이 저가
2. 바닥에서 박스권 횡보
3. 박스권 위로 상승하는 구간(양봉)에서 볼륨이 늘고
4. 박스권 위에서 아래로 하락하는 구간(음봉)에서 볼륨이 준다.
매집 : 싸게 사서 비싸게 팔려고 한다.
박스권 횡보를 시켜야 하는 이유?
- 싸게 많이 사야 하는데, 사면 가격이 오른다. 그래서 박스권 횡보를 시켜야 한다.
- 박스권 횡보는 어떻게 하는가?
- 살 때는 많이 많이 사고, 팔 때는 조금씩 조금씩 팔아야 가격도 안정 시키고, 매집도 성공하는 것.
수젠텍을 보면
- 올라가는 양봉들을 보면 볼륨이 있다.(싼 가격에 많이 샀다)
- 근데 다시 눌렀다.(박스권 상단에서 적게 팔아서 가격을 낮췄다)
- 수젠텍의 경우, 코로나 진단 키트 테마주이기 때문에 매집 기간이 짧았지만, 이런식으로 작전을 한다.
- 왁스 코인이나 마로가 비슷하다. 양봉 볼륨은 살아있고, 음봉 볼륨은 없다.
'코인 공부 & 매매 복기 > 매억남 라이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4.11) -2 (1) | 2024.12.09 |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4.11) -1 (1) | 2024.11.27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4.08) (1) | 2024.11.25 |
매억남 라이브 리뷰(21.04.07) (1) | 2024.11.25 |
매억남 라이브 리뷰(24.07.02) - QnA(45:00~) (0) | 2024.08.1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