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rowingbeard.tistory.com/20

https://growingbeard.tistory.com/21

 

- 매억남 24년 7월 2일 라이브 / 지난 방송(24.07.02) 복기, 차트 분석에 이은 QnA입니다.

 

 

1. 매억남은 시드가 어떻게 되나요?

- 현재 운용하는 시드는 대략 120만 달러정도 된다. 

- 현재는 20만 달러 벌 때마다 절반씩 출금하고 있다.

- 경험상 호가창의 두께가 얕기 때문에 한 번에 300개 이상은 권하지 않는다. 300개 이상 치면 호가창이 밀려서, 손절 시 손해가 더 많이 난다.

 

 

 

2. 거래소 몇 개 쓰나요?

- OKX와 비트겟 쓰고 있다.

- 비트겟이 수수료가 비싸긴 하지만, 스퀴징이 일어나지 않는다(호가창이 두껍다)

- 서브 거래소로 쓰기에는 꽤 흡족하다.

- 아마 거래소 물량일 것이다. (아마 봇일 거라고 추정. 거래량이 큰 고래들을 위한 거래소의 배려일 수 있다.)

- 한 번에 100개 이하로 잡는 사람이라면, 굳이 비트겟 쓸 필요 없다.

- 번외) 비트겟 대회는 경쟁률이 낮다.(참가자가 적다) 하지만 상금이 적다.

 

 

 

3. 다음 대선 테마주는 언제부터 준비하면 좋을까요?

- 다음 대선 27년 이므로 내년부터 하면 된다. 아직 준비할 필요 없다.

 

 

 

4. 호가창 이야기 나온김에 혹시 매매할 때 호가창 보는 팁 나눠주실 수 있으신가요

- 호가창 읽을 필요성 없다.

- 만약 30초안에 매매하는 스켈퍼라면 호가창을 읽을 필요가 있을 수 있지만, 매억남 투자 방법에서는 의미 없다.

 

 

 

5. 환율 차트(USDKRW)

(1) 환율에서 더블 다이버전스 발생하였으나 반등이 다시 왔다 (2) 한 번 더 갱신하고 떨어질 수 있다. (3) 실제 차트에서는 갱신하지 않고 그대로 떨어졌다.

- 환율에서 4시간 봉에서 더블 하락 다이버전스를 먹어서 떨어질 줄 알았는데, 반등이 왔다.

- 한 번 더 갱신할지 안 할지 모르겠다.

- 한 번 더 갱신하면 더 깔끔하기는 하다.

- 매억남은 (2) 하얀색 원형 구간에서 절반정도 익절했다.

- 이 트렌드 라인 아래로 깨지거나 상방 지지선을 터치하면 완익할 것이다.

 

 

 

6.  BNBUSDT

(1) BNB 저점 이후로 전형적인 임펄스가 나왔다. (2) 삼각 수렴 후 5파 반등 및 조정이라는 전형적인 비트코인 임펄스 형태 나왔다 (3) 그러나 타점 진입이 늦었다. 현재는 손익비가 좋지 않다.

- 저점 이후로 전형적인 임펄스가 나온 것 같다.

- 3파 완성 이후, 4파 삼각 수렴조정, 5파가 나온 이후 바로 떨어지는 전형적인 코인계 임펄스 완성

- 만약에 5 파시에 알았더라면, 숏으로 타점을 잡아서 수익이 꽤 컸을 것 같은데, 이미 봤었을 때는 5파 후 조정 중이었다.

- 반등이 나오면 숏해야겠다고 생각했는데, 반등 없이 계속해서 조정 중이다.

- 현재 시점에서는 손절라인이 너무 멀고, 익절 라인이 가까우므로 손익비가 너무 안 좋다. 지금 들어가는 것은 좋지 않다.

 

 

(1) 오히려 ABC로 다시 반등이 오면 숏 타점이 나올 것 같다 (2) 실제 차트 상 숏 타점이 한 번 더 만들어졌다. (3) BNB가 더 기대되는 이유

- 확실히 ABC로 올라온 이후, 손절라인이 가깝고 익절라인이 먼 구간이 오면 숏 타점 진입을 고려 중이다.

- 그러나 지금 상태로 더 빠져서 흐르면, 임펄스에 대한 조정이 완성된 것이기 때문에 숏 타점은 볼 필요가 없다.

- 실제 차트 상으로 5파 이후 하락하다가 0.5 구간에서 반등이 왔다. (매억남이 말한 대로, 숏 진입 라인이 한 번 더 왔었다)

- 그리고 다시 하락하여 현재 24.08.12 기준 618 구간까지 도달하였다.(임펄스 5파에 대한 조정이 끝나는 지점이 아닐까?) → 그러나 내가 잡은 임펄스의 시작점이 맞는지 모르겠다. 3파 이전 기준이 애매하다.

- BNB 같은 경우, 더 기대된다. 과거 차트를 봤을 때, 21년 코인 상승장 때 고점 찍고 1/3 토막이 났다. 그 이후 가격이 회복하는 듯했다가, 또 1/3 토막. 흔히 우리가 말하는 복합 조정(wxyxz)이 왔다.

- 복합조정(wxyxz) 이후 임펄스로 깔끔하게 올라왔다. 그래서 코인 장이 좋다고 하면, BNB 역시 기대되는 코인이다.

 

 

 

7. 알트코인(비트코인골드, 테조스) 등등 아직 여전히 가지고 있나요?

- 가지고 있다.

- 왜냐면 비트코인 5파가 아직 안 나왔다고 생각해서 가지고 있다.

- 그런데 비트코인 5파가 나온다고 해도, 생각보다 알트가 너무 약세장이기 때문에 당황스러운 정도다.

- 솔라나, BNB 등은 고점을 넘기거나 회복을 했는데, 나머지 90% 알트들이 바닥을 기고 있다. 이제는 알트코인 옥석 가리기가 시장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 이번 상승장에서 힘을 얻지 못하는 알트코인들은 앞으로도 외면받을 코인이라고 생각된다.

https://stock.mk.co.kr/news/view/72392

 

닥사, 상장 가이드라인 공개…위믹스 재상장에 관련 규정 보완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닥사·DA...

stock.mk.co.kr

- 뉴스가 나왔다. 국내 상장 천여 개의 코인들에 대해서 닥사(코인 거래소 공동체)에서 내놓은 가이드라인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장 폐지 하겠다.(24년 6월 뉴스)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코팍스 등 5대 국내 거래소가 공개한 가이드라인)

- 해당 뉴스 이후 국내 거래소에 등록된 김치코인들의 폭락이 한 번 나왔었다.

- 그러나 이 뉴스 이전에도 5대 거래소에서는 이미 가이드라인이 적용이 되어 있었다. 해당 뉴스는 5대 거래소 이외 국내 모든 다른 거래소에도 해당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겠다는 뉴스다. 반대로 말하면, 현재 5대 거래소에 살아남은 알트 코인들은 가이드라인에서 살아남은 코인들이다.

- 그렇기 때문에 5대 거래소에 살아남은 국내 코인들의 가격 폭락이 나온 것은 과도한 액션이 아니었나 생각하고 있다.

 

 

 

8. 58402 저점이후로 1-2 1-2 로 안 보시나요? 1-2 1-2는 깨졌다고 볼 수 있는 기준이 있을까요??

(1) 12-12라고 가정했을 때의 앞으로의 패턴 (2) 시나리오가 맞으려면 ABC 조정이 이렇게 나온다는 것인데, 너무 일반적이지 않다. 확률이 낮다.

- 가능성을 두고 시나리오에 대해서 열어두기 위한 질문이라면 OK이다.

- 58402 저점 이후로 1-2-1-2로 본다면, (1)처럼 12-12345-45 이후 - 고점 맞고 조정 - 다시 고점 넘긴다는 시나리오.

- 그렇다면 이 파동 이전 조정이 ABC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4파조정 카운팅을 이렇게 하는 이유가 있는가? 수렴도 아니고, 일반적인 ABC가 아니고, 러닝 플랫도 아닌 완전한 불규칙 ABC로 카운팅을 하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 그런 이유가 있으면 12-12로 볼 수 있다. → 나도 마주할 수 있는 문제. 사실상 질문자 또한 차트를 카운팅하는 것이 익숙치 못했던 것 같다.

- 현재로써는 삼각수렴이 나올 확률이 더 높고, 그다음 ABC일 거다. 시청자가 말하는 대로 나올 확률은 적다(물론 시장에 대한 예측이 틀릴 수 있다. 5%라도 확률이 있을 수 있으므로)

 

 

 

9. 지금 15분봉 과매도구간인데 시간 좀 지나서 상승 다이버전스 뜨면 롱 스위칭 하실 수도 있나요? 아니면 더 아래 피보나치 0.5나 0.382까지 기다리실 건가요?

(1) 질문의 의미 (2) 15분봉 상승 다이버전스가 뜰 확률이 높다. ABC 형태 완성. (3) 실제 차트 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발생했고, 상승했다.

- 15분 봉 기준으로 반등이 오게되면 상승 다이버전스가 뜰 수 있다. 그렇다면 롱 스위칭을 하느냐? 아니면 더 기다리느냐의 질문 

- 이거는 현재는 모른다. 뜨는 모양이 어떤 식으로 뜨는지에 따라서 판단을 한다. 다시 카운팅도 해본다.

- 15분봉 상다가 뜰 확률이 높다. 왜냐면 이전 매물대에서 반등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면 ABC가 (2)처럼 나왔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진입을 해볼 수 있다.

- 실제 차트상으로 15분 봉에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발생했다. 그 이후 상승했다. 그러나 15분봉 이상의 타임스탬프에서는 크게 상승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1) 방송 말미에 5분봉, 15분봉의 상승 다이버전스가 깨졌다. 위처럼 반등후 다시 떨어질 수는 있다.

- 방송 말미에 한 번 더 언급) 1분봉에서만 상승 다이버전스가 성립했다. 5분봉, 15분봉도 아니다.

- 이런 곳에서는 대회기간이 아니면 굳이 매매하지 않는다. 

- (1) 스크린샷 처럼 반등올 수는 있으나 또 떨어질 수 있다.

 

 

 

10. 잠 줄이는 비결

- 몰입해야 한다고 몇 년 전부터 주야장천 말해왔는데, 타인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겠다.

- 14시간 차트 봐라. 잠은 안 줄여도 된다.(전업일 때)

- 직장인들은 다르긴 한데, 틈틈이 차트를 봐야 한다.

 

 

 

11. 형님 테슬라 지금 상승하고 있는데 로그로 장기관점 한 번만 방송 종료하시기 전에 봐주실 수 있으실까요?  매우 큰 장기관점으로 봤을 때 임펄스의 4파 삼각수렴 나오고 있는 것 같아서요

- 매억남은 로그로 보지 않는다.

- 차트 모양이 완전 달라진다.

 

 

12. 형님, 지난번에 LG전자 여쭤봤던 동생입니다. 적당히 수익 보고 있는데, 지금 구간이 어려워서요. 반등하고 ABC상승 중인 거 같은데, 임펄스까진 좀 더 지켜봐야 할까요?? 거래량이 적어서 좀 의심스럽긴 한데.. 고견 부탁드립니다.

(1) 하락 다이버전스 + ABC 파동 (2) 복합조정으로 나올 것 같다.

- 매억남이라면 ABC 다 나온 것 같아서 일봉상 음봉 꽂히자 마자 팔았을 거다.

- ABC 짧게 나온 것 같다. (abc-abc-임펄스로c파)

- 또 일봉상 하락 다이버전스 있다.

- 크게 봤을 때 복합조정으로 나오는 것 예상.

- (예시) (2)처럼 복합조정으로 수렴하다가 크게 봤을 때 ABC로 상승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단기로는 반익은 지금 나가는게 맞다고 본다.

 

 

 

13. 카카오(035720)

(1) 카카오의 이상한 주가 흐름 (2) 큰 트렌드를 라인을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저점을 갱신하는 이상한 패턴

- 매억남도 환장하겠다ㅋㅋㅋㅋ

- 반등 나올 자리가 여러번 있었는데, 계속 부시고 있다.

- 고문하는 차트. 흔치 않은데, 지금 그렇다.

- 떨어지더라도 반등나왔다가 떨어지는데, 그렇지 않다.

- 매억남 기준 4~5년 만에 처음으로 손절을 안겨준 종목. 그래서 이제 카카오 보면 화난다.

- 미국 금리 인하 및 코스피 상승하면 카카오도 오를 것 예상 하고 있었는데, 금리 인하도 늦춰졌다.

- 장기적으로 하락했는데, 또 다시 저점을 갱신하는 패턴. 이런 패턴 너무너무 어려운 주식이다. 잘 나오지 않는 패턴.

- 애증의 주식이다.

 

 

오늘 QnA에서 배운 점 & 공부할 점

1. 호가창 신경쓸 필요 없다.

2. 매매시점에서 방향에 대한 판단이 맞더라도, 손익비가 커야 들어간다. (손해 비율이 크면 들어가지 않는다)

3. 코닥 가이드라인에서 살아남은 국내 코인들의 경우 이미 살아남은 코인들이므로 폭락의 반응은 다소 왜곡되어 있다고 본다.

4. 카운팅을 할 때 일반적인 형태의 카운팅이 아니면 꼭 이유가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확률이 높은 카운팅을 하는 것이 매매의 타율이 높다.

5. 로그 차트 보지 않는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