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억남 라이브 리뷰(24.06.26) - 지난 방송 복기(09:00~)

https://growingbeard.tistory.com/17

 

매억남 라이브 리뷰(24.06.26) - 지난 방송 복기(09:00~)

지난 방송 복기(09:00~)https://growingbeard.tistory.com/11 매억남 라이브 리뷰(24.06.12) - 지난 방송 복기(9:00~)지난 방송 복기https://growingbeard.tistory.com/4 매억남 라이브 리뷰(24.06.03) - 차트 분석차트 분석(25:

growingbeard.tistory.com

https://growingbeard.tistory.com/18

 

매억남 라이브 리뷰(24.06.26) - 차트 분석(25:00)

매억남 라이브 리뷰(24.06.26) - 지난 방송 복기(09:00~)지난 방송 복기(09:00~)https://growingbeard.tistory.com/11 매억남 라이브 리뷰(24.06.12) - 지난 방송 복기(9:00~)지난 방송 복기https://growingbeard.tistory.com/4 

growingbeard.tistory.com

https://growingbeard.tistory.com/19?category=1185337

 

 

 

 

 

 

(1) 메이저 4파에서 삼각 수렴과 ABC 하락 가능성 (2) 매매전략

- 지난 방송 시점 : 24.06.26(초록색 원형)

- 마운트 곡스 물량이 나오면서 급락이 나왔다가 살짝 반등이 온 시점에서 방송했었다.

- 당시 예상은 삼각 수렴 혹은 ABC 하락인데, 삼각 수렴에 조금 더 무게를 두고 있었다.

- 그 이유는 메이저 4파 구간이라고 판단했고, 수렴/ABC 하락 둘 모두 상승을 보고 있다. 또 일봉상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왔고 메이저 2파가 단순한 조정이었기 때문에 4파 조정은 비교적 복잡한 조정으로 나올 확률이 있다고 보았다(삼각 수렴에 더 무게).

- 매매전략은 반등 시 조정 구간 숏을 노리는 것이 더 확률이 높다(삼각수렴과 ABC 하락의 공통구간) 혹은 떨어졌을 때 매물대가 있는 부근에서 롱을 타는 것이 좋다.

 

 

(1) abc 반등이 나왔다 (2) 깔끔하게 임펄스로 12345 (3) ABC가 다 완성된 것으로 봤다.

- abc 반등이 나왔고. 깔끔하게 임펄스로 12345가 나왔다.

- ABC가 다 완성된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 abc반등에 임펄스가 언급되는 것에 대해서 공부할 필요가 있다.

 

 

(1) 숏 타점을 잡았으면 굉장히 쉬운 차트 (2) 지난 방송 숏 포지션 (3) 반익/완익 후 롱 스위칭

- 저 지점에서 숏 타점을 잡았다면, 굉장히 쉬운 차트이다.

- 지난 방송 시점에 숏 포지션을 가지고 있었다.(빨간색 숏타점) - 반익/완익까지 가져가고 롱으로 스위칭까지 했다.

- 스위칭을 한 이유 : 카운팅을 해보면, 완벽하고 깔끔하게 ABC로 나온다. C파동도 15분 봉으로 보면 abc로 떨어진다. 그래서 떨어지더라도 '반등' 후에 떨어질 것이다.(반등은 무조건 할 것이다)

 

 

(1) ABC로 올라가는 파동일 수 있다. (2) 15분봉 상승 다이버전스 (3) wxyxz - 완벽한 타점 포인트(오른쪽 원형)

- 아니면 ABC로 올라가는 파동일 수 있다.

- 고로 롱 포지션에서 손절라인/반익절라인/완익절라인하고 스위칭하면 되겠다는 생각이었다.

- 15분봉에서도 상승 다이버전스가 있었다.

- 결과적으로는 ABC가 아니었고, wxyxz였다.

- 고로 완벽한 타점은 z끝부분이었다.((3) 캡처의 오른쪽 원형)

- 어찌됐든 반익절, 완익절까지 했다.

 

 

(1) 임펄스 이후 조정 (2) 3파, 4파가 나왔고 5파가 나와야 고점을 넘기는 상황 (3) 1파, 3파가 임펄스라면 535나 53535

- 완익절을 한 이유? : 

- 카운팅 15분 봉 → 1파가 임펄스로 5파가 나왔고 조정이 왔다.(1파, 2파가 나왔다고 생각하고)

- 3-1, 3-2, 3-3파, 3-4파가 나왔고 임펄스로 고점을 넘기려면 큰 3-5파가 나와야 한다.

- 앞의 1파를 임펄스로 보았기 때문에, 3파가 임펄스라면 아래 두 가지 케이스가 있다.

1. 535 ABC

2. 53535 임펄스

 

 

(1) 고점을 넘기려면 조정이 618구간까지만 갔다가 5파 임펄스로 나와야 한다. (2) ABC 상승인지 53535 임펄스인지 분간하는 방법(618구간)

- 여기서 상승을 넘기려면 조정을 짧게 618까지만 가져가야 하고(3-4파), 3-5파(3파 완성)가 또 나와서 3파에 대한 큰 4파 조정 갔다가 다음 파동이 올라와야 한다.

- 그런데 3파 구간으로 봤을 때 618을 넘겨서 조정이 가길래, 완익절 했다.(임펄스가 실패했다. 3-1,3-2,3-3까지만 나오고 4파는 618구간을 넘어섰으므로 3-3에 대한 조정이라고 볼 수 없다.) 그 말은 임펄스가 아니다.

- ABC로 상승했다 떨어질 것인지/ 임펄스가 나올 것인지 가늠하는 방법 → 3파의 618을 찍어서 618보다 떨어뜨리면, ABC(535) 일 확률이 높다.

- 그래서 완익절을 했다.

 

 

(1) ABC의 롱 타점 (2) ABC의 c파동이 abc파동인지 임펄스인지 카운팅이 어려웠다.

 

- 이후 타점이 애매했다. ABC 이후 롱을 들어갔다면 완벽했을 것이다.

- 그런데 들어가지 못했다. C파동 내의 파동이 카운팅이 잘 안됐다. (2)의 동그라미 친 부분이 임펄스 같기도 하고 ABC같기도 했다. 정확하게 카운팅이 안 됐다. C의 c웨이브가 카운팅이 잘 안 됐기 때문

- 그래서 롱 타점을 보내주었다.

 

 

(1) 리딩-2345 파동 형태 (2) ABC 파동 형태 (3) 공통구간 수익 실현

 

- 빨간색 원에서 숏 타점을 잡았다.

- 그 구간을 리딩 다이아고날이라고 보았다. 리딩1 - 2 - 3 - 4 - 5 일수 있고

- ABC로 떨어뜨릴수도 있다. 그렇다면 리딩 이후 하락과 ABC의 B 공통 구간만 먹자.라는 생각에 익절.

 

 

(1) 임펄스로 명확하게 나왔고,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왔다. 기다렸던 숏 타점 (2) 임펄스의 4파 조정이 끝나고 롱 포지션 (3) 618 구간에서 정확하게 롱 타점 잡았다.

- 우리가 기다렸던 타점.

- 숏을 무조건 들어갔어야 되는 지점.

- 임펄스가 너무 명확하다 (12345) + 하락 다이버전스도 있었다.

- 그 전에 롱 타점을 한 번 잡았었다. 임펄스가 명확했고, 3파 이후 4파 조정이 왔고, 5파가 나올 것이라 생각했다 + 상승 다이버전스도 있었다. + 618 지점에서 롱 타점 잡았다.(딱 618)

 

 

(1) 반익(초록색 원형) /부분익절(마지막 초록 원형)/나머지 홀딩 중

- 반익 + 완익 후 숏 스위칭 했다.

- 숏 물량은 첫 매물대 구간에서 익절 했고, 다음 구간에서 부분 익절 후, 나머지는 들고 있다.

 

 

(1) 이더리움 숏 타점/ ABC가 완성됐다. (2) C파동의 임펄스 (3) 반익/완익

 

- 이더리움 숏 타점

-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이 ABC가 먼저 완성됐다.

- 임펄스가 너무 예쁘게 완성됐다.

- 그래서 숏 타점 이후 반익/완익을 했다.

- 매억남이 들어가는 아주 전형적인 타입의 매매.

 

 

(1) 리딩 다이아고날 + 라이징 웻지 + 하락 다이버전스 (2) 손절라인 (3) 손익비

- 이더리움

- 리딩 다이아고날(12345)/라이징 웻지로 볼 수 있다. 고점 맞고 떨어지는 숏 자리 + 15분 봉 하락 다이버전스도 있다.

- 디스코드 방에 공유된 내용이다.(자유채팅방)

 - 이 자리가 좋은 이유는 손절을 하더라도 상방 지지선이 뚫리면 바로 손절라인이기 때문에, 손해는 조금 보는데, 이익을 많이 벌 수 있는 구간.

- 보통 입구 시작점까지 되돌린다.

- 틀렸더라도 손해는 조금 보는 손익비가 아주 좋은 구간이다.

 

 

 

(1) 비트코인 숏 물량 나머지 매도 시점(0.5구간) (2) 첫번째 익절한 이유(123러닝플랫5)

- 비트코인의 아직 홀딩 중인 물량은 언제 매도할 것인가?

- 절반까지는 되돌릴 것이라 생각한다.(0.5구간)

- 두 번 익절을 했는데, 첫 번째 구간에서는 익절 안 했어도 됐다.

- 123러닝플랫5가 올라오더라도 손절은 하지 말아야지 하는 생각에 짧게 익절 했다.

 

 

 

(1) 12345-ABC라고 보면 (2) ABC로 올라갈수도 있다.(535) 반드시 익절해야 하는 구간

- 두 번째 익절은 왜 꼭 익절을 해야 하는 구간이냐면

- 12345-ABC 나오고 다시 올라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 그렇기 때문에 반익을 꼭 해두고, 올라갔었을 때 본절을 해야 수익으로 마감하는 매매이다.

- 크게 익절을 먹으려는 매매는 항상 위험하다. 조금씩 천천히 안전하게 복리로 굴려가는 것이 투자의 정석이다.

 

 

(1) 반익이 실현되지 못할 예상 시나리오

- 반익이 못 나갈 확률도 있다.

- 현재 추세선을 그려보면 현재 시점이 딱 걸려있다.

- 현재 시점부터 반등이 나오면 (1)처럼 나올 수 있다. 그러면 하락 다이버전스가 걸릴 것이다.(이 시나리오에서 반익절은 본절이 될 것이다.)

 

 

 

 

오늘 복기에서 배운 점 & 공부할 점

1. wxyxz 패턴 공부하기

2. 나오고 있는 패턴이 ABC인지 임펄스인지 확인하려면 618구간을 하방으로 뚫는지 안 뚫는지를 볼 필요가 있다.

3. 러닝 플랫 공부하기

4. 욕심을 부리는 것은 항상 위험하다. 큰 이익을 얻는 것보다 손해를 보지 않는 매매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투자의 정석은 복리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