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방송
- 5 파동 하락을 예상하고 숏진입
- 웻지를 그리면서 하락할 것 같았으나 방송 중에 하락-반등-하락-반등이 나왔다.
- 피보나치 382구간까지는 숏을 보면 된다고 말했다.
- 상방 가는 것이 잘 안 보인다고 말했다.
- 매물대 라인과 382구간 지키면서 매매하면 되겠다고 말했다.
- 그런데 382를 뚫고 올린 이후 떨어지고 있는 중이다.
- 어제의 분석은 틀린 것
- 하락이 올 것이라고 생각한 부분에서 한 번 더 올려서 하락했다.
- 매억남은 실제로 382 부근에서 추가 숏을 또 들어갔다.
- 역지정은 안 걸었고, 알람만 걸어놓고 잤다.
- 그런데 다시 봐도 상방이 안 보였다.
- 연두 ABC(주황 abc)가 보였다.
- 완벽한 카운팅이어서 여기서 끝났어야 했다. - 이 구간은 손익비가 좋은 구간이었다.
- 그렇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숏 진입했다면, 초록색 원에서 손절이 나갔어야 한다.(원칙, 진입근거가 깨지는 시점)
- 손절을 안 친 이유?
- 상방을 보려면 어떻게 카운팅해야 하나?
- 리딩으로 보면 된다.
- 그러면 리딩 1- 2 - 3파로 상승이 나왔어야 한다.
- 그런데 3파의 시작이 임펄스가 나와야 하는데, 임펄스가 못 나왔다.
- 누가 봐도 ABC(abc)로 나왔다.
- 그럼 어떻게 카운팅이 가능한가?
- 리딩으로 A파동이 나왔고, B파동이 나왔다. C의 a파동이 나왔고, C의 bc가 남았구나.
- 그렇다면 오른 것의 0.5구간(29900)까지는 조정을 줬다가 다시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했다.
- 그래서 손절을 안 쳤다.
- 그런데 실제로 차트는 이렇게 흘러갔다.
- 연두 A(리딩 다이아고날) BC(주황 abc)로 끝났어야 할 차트가 연장이 되어서 노랑 C로 엔딩 다이아고날이 나왔다.
- 엔딩 다이아고날 내의 3파 고점을 5파가 살짝 넘기면서 완성시키고 하락했다.
- 하락 다이버전스가 있다.
- 이 지점을 숏 타점이라고 디스코드에 공유했다.
- 반익절했다.
- 혹시 파동이 연장돼서 상방으로 간다면 12-12345-45로 나온다.
- 그런데 이렇게 간다고 하더라도 진입한 숏 타점에서는 숏이 맞다.
- 반익절 자리. 이유?
- 카운팅을 해보면, 숏 진입 이후 주황 a(연두 abc) bc가 완성되는 자리였다.
- 그렇다면 주황 12 - 노랑 12345 - 주황 45로 나온다고 봤을 때, 숏 익절 후 롱 셋업을 해야 하는 자리였다.
이더리움
- 리딩 1 - 234 이후 4파가 나오고 있는 중으로 보인다.
- 그러면 반등 이후에도 재하락이 보인다.
- 비트코인만 보면 4파가 너무 많이 되돌려서,
- 12345 임펄스 이후 그에 대한 반등 이후 다시 재하락 가는 것 아닌가요?라고 말하기에는 간단하지 않다.
- 4파 조정이 3파에 대한 0.5 이상을 되돌리고 하락했다.
- 이런 경우가 많지 않다. 보통은 4파는 3가지로 나온다.
1) 382보다 더 많이
2) 382까지
3) 382보다 더 적게
- 어디가 많이 나올까?
- 순서대로 3-2-1로 많이 나온다. (비트코인 한정)
- 382 도달을 못 하고 떨어지는 것이 제일 많다.
- 이렇게 통계적으로 봤었을 때, 0.5구간을 넘기는 것이 거의 없다.
- 임펄스였을 수 있지만, 결국에는 노랑 A(주황 a(연두 abc) bc)로 나온 이후 노랑 B(주황 abc)로 나와서 노랑 C로 떨어지는 것일 수 있겠다고 생각할 수 있다.
가능성을 2개 열어놔야 한다.
a) 12345 나오고 반등 나왔다가 다시 떨어지는 것
b) ABC로 더 딥하게 빠져서 다시 반등이 온다는 것.
- 빠진다는 것 같은거 아니냐?
- 중기 분석이 갈린다.
결론
- 이더리움을 보면 5파 하락이 맞는 것 같아서 반등 후에 다시 하락할 것 같다.
- 비트만 보면 abc 하락일 수 있어서 헷갈린다.
여기 중간에 공통 구간 매매에 대한 설명(이 시점에 공통 구간 매매할 수 있는 자리 3군데 있다는 설명)
- 귀찮아서 요약 안 함.
- 또 하락이 연장되서 임펄스가 연장되면 공통 구간이 없다는 설명도 함.
- 매물대 구간이 있어서 반등이 나올 확률이 높아 보인다.
- 이 구간에서 파동 카운팅이 완성되면서 상승 다이버전스도 형성될 확률이 높다.
폭락의 시발점 : 흰 라인
- 추세를 그으면 3개로 그어진다.
- 그럼 이 구간을 카운팅하면? 연두색 12345로 카운팅 되고 더 크게 주황색 12345로 카운팅 된다.
- 이 구간이 임펄스 같지 않고 abc 같지만.
- 12-12345-45로 카운팅이라면 깔끔하게 된다.(5분 봉이라 정확하지는 않지만)
- 15분 봉부터 카운팅 하라고 하면, 저 구간이 abc로 카운팅 하기에도 무리라서 12-12345-45로 봐도 될 듯하다.
만약 요번에 엔딩 뚫고 상승 나왔으면 손절은 어디서 하셨을 것 같나요? (30700 부근)
- 진입 근거 뚫리는 시점
- 하락 다이버전스 뜨는 시점에 진입
- 채널 상단 뚫리면 손절했을 것이다.
나스닥?(NQ1!)
- 임펄스 같지는 않다. 왜냐면 3 파동 세부 파동이 잘 안 나온다.
- 혹시나 심플하게 12345로 보면 하락-반등-하락이 나올 차례.
- rsi상 하락 다이버전스 걸려있다.
- 이걸 깨고 5 파동이 연장돼서 올라갈 확률은 적어 보인다.
- 하방을 보는 것이 맞다.
이더리움 4파를 러닝플랫으로 보는 카운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조심스래 질문합니다.
(이더 5월 중순부터 A파, 1695 저점을 러닝플랫 B파, 2017 C파로 볼 수 있나요?)
- 연두 abc로 러닝플랫을 보는 케이스
- 매억남도 이렇게 생각하긴 했다.
- 이렇게 생각 안 하면 폭락이 너무 커서.
- 연두 12345로 끝났어야 하는데, 연장이 나오면 주황 12-12345-45로 나온다.(왜??????? 왜 연장의 연장까지 바라볼 수 있지? 아. 이미 차트상으로 주황 12-12가 나온 형태라서 그런가 보다.)
- 그러면 진짜 크게 하락한다. 진짜 많이 빠진다.(이러면 1000달러가 깨지는 형태)
- 시청자 질문처럼 러닝플랫으로 abc가 나오고 5파가 나와야 그나마 덜 빠지는 형태다.
형님 파동은 이제 좀 알겠는데 바닥 잡는 건 어떤 방법 쓰시는지 혹시 여쭈어도 되겠습니까?
- 정교하고 정확하게 카운팅 하면 된다.
- 시나리오를 짜서 잘 대응하면 된다. 여러 관점을 두고 잘 대응.
매매 원칙
1. 승산이 자신에게 물었을 때 70% 이상이라고 확신하냐?
'코인 공부 & 매매 복기 > 매억남 라이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6.02) (1) | 2025.03.09 |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5.29) (0) | 2025.03.08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5.26) (0) | 2025.03.07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5.24) (0) | 2025.03.06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5.22) (2) | 2025.03.0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