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방송

- 롱 관점

- 저점 이후 abc 파동, abc하락 파동이 나왔다. 이후 C파로 인해 상승을 갈 수 있다고 말했었다.

- 그렇지 않으면 복합 조정으로 WXY(수렴)을 끝나고 쏟는 형태가 나오는 것.

- 이렇게 나오면 숏을 보는 게 맞지만, 그렇지 않다면 롱을 보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 비트코인 차트는 좀 애매한 부분이 있지만, 이더리움을 보면 좀 더 명확하다.

- 네 시간 봉상으로 상승 다이버전스와 엔딩 다이아고날이 나왔다.
- 원래 TP는 382구간까지. 이전 카운팅이 임펄스 3파였고 지금이 4파 진행 중이므로. 4파 되돌림이 382까지는 갈 수 있다.

그래서 매억남은 롱 진입했다.

- 그런데 지난 방송 시청자의 질문이 "손절 라인을 어디 잡아야 하나요?"였다.

- 원래대로라면 트렌드 라인 상단에서 익절 했을 것.

- 손절 라인을 안 잡고 진입했었는데, 손절 라인이 멀다고 생각해서. 방송 끝나고 손절하고 잤다.(매매원칙을 잡지 않았기 때문에)

- 이더 숏 진입했다.

- 단기 5 파동 완성됐다고 봤다. 그리고 4파(abc)로 떨어지고 다시 반등 나올 것이라고 봤다.

- 3파 고점을 뚫고 떨어지는 것을 보고, 하락 다이버전스 컨펌이 나는 것을 보고 추격 숏 진입

- 약손절 나갔다.

이 구간에서도 5파 완성 구간이라고 봤고, 하락 다이버전스 컨펌 나면서 숏 진입했다.

- 익절을 걸어놨는데, 체결이 안 되고 올라갔다.

- 그래서 그냥 정리했다.(비슷한 가격대에) 왜?

- 이더리움을 봤더니 비슷한 차트 모양인데, abc 완성되면서 상승 다이버전스 완성됐다.

- 이더리움이 반등올 것처럼 보여서 비트코인도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 그리고 익절하고 반등 시에 다시 숏 진입하고 익절 했다.

- 가격 알람을 걸어뒀다.

- 숏을 시장가로 들어가서 익절 했다.

 

 

 

올라가는 건 뻔하게 예견이 됐다.

- 그러나 올라갔었을 때 숏을 진입해야 하는 것은 고민이 되는 포인트다.

- 3파 하락에 대한 되돌림 ABC가 4파로 나오면, 5파로 떨어지니까 숏 진입이 맞는데

- 이렇게 나오지 않을 수 있다.

- 고점부터 지금까지의 하락이 연두 ABC로 나왔다.

- 그중 A파는 주황 ABC로 나왔고, 그중 C파는 abc로 나왔다.

- 연두 ABC에서 A가 3개로 나왔으니, C파는 3개나 5개로 끝날 수 있다.(333, 335)

- 저점이 어디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락장의 끝에서는 보통 333보다는 335로 끝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

- 또한 C파의 내부 소파동이 임펄스로 보인다.

- 그래서 5 파동이 완성될 확률을 높게 보는 것이 더 맞다.

- 5 파동일 수 있지만, 빨간색 원이 저점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상승 다이버전스도 걸려있다.

- 그래서 숏 진입이 어려웠다. (왜? 333으로 ABC가 나왔다면, 빨간색 원에서 333 ABC가 끝난 것으로 볼 수 있고, 그렇다면 상승 파동이 나올 수 있어서)

- 30분 봉을 보면 이 구간이 명확하게 임펄스 형태로 보인다. 

- 그리고 하락 다이버전스 형성

-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숏 진입하는 것이 좋아 보였다.

- 숏 진입 / 반이고 / 반홀딩, 역지정이 전형적인 정답의 매매에 가깝다.

 

 

 

한 파동이 더 남았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잘 모르겠다.

- 파동 카운팅이 까다롭다. 

- 리딩 주황 1파, 2파 이후 연두 3-1,2,3,4,5가 카운팅

- 그러면 크게 주황 12345로 카운팅

- 그럼 노랑 12345로 크게 카운팅이 된다.

- 그런데 노랑 4파가 노랑 2 파보다 현저히 짧다.

- 그래서 이 카운팅이 맞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든다.

- 따라서 오른쪽 스크린샷처럼 새롭게 카운팅 하면, 주황 12-연두 12345-45로 카운팅이 돼서,

파랑 ABC이거나

- 파랑 123(ABC대신) 45로 더 올라갈 수 있다.

- 그래서 고점에 대한 확신이 없었다.

- 이 구간은 파동 카운팅 길이 많이 나온다.

- 이 구간은 첫 빨간색 지점이 5파가 아니라 3파 지점이라고 하더라도, 숏 진입하고, 내려가면 반익/ 반홀딩 및 본절 역지정.

올라가면 본절 이후 다시 5파 완성되는 부분에서 숏 진입하기 좋은 전략 구간이다.

 

 

방송 직전 숏 진입

- 382를 찍고 폭락이 나왔다는 것

- 5파로 25k까지 찍어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5파가 임펄스로 나올 것이니까, 급락 부분이 5-3파로 보면, 지금은 5-4 구간이 아닌가 생각된다.

- 382까지 반등이 올 수 있다. 그런데 382를 넘어가면 임펄스가 아닐 수 있으니까 손절각을 봐야 한다.

- 5파 내려오게 되면 매물대 하단이다. 그러므로 지켜줄 것 같다. 매물대 하단에서 지지받으면 상승 다이버전스가 걸리면서 상승할 수 있을 것 같다.

- 그러면 숏 진입한 것, 익절 및 롱 스위칭해서 수익화하면 좋을 것 같다.

- 롱 스위칭 익절을 382에서 할지, 0.5구간에서 할지는 잘 모르지만 익절 후 다시 숏 진입해서 하락 임펄스에 대한 수익을 보면 좋을 것 같다.

- 다음 3파는 메인 숏이 되어서, 전저점을 깨지 않을까.

 

 

 

- 하나 헷갈리는 것

- 이 구간 모양이 임펄스가 아니다. ABC로 보인다.

- 정확하게 파동 카운팅을 하면, 12-12로 봐야 한다. 

- 큰 연두 파동 12-흰 파동 12345-45

- 이렇게 파동 카운팅을 하는 게 정확하다.

- 그런데 이렇게 안 나올 것 같은 이유가 이더리움에 있다.

- 비트코인을 분석했는데, 상/하방이 헷갈린다면, 이더리움을 참고하면 좋다. 만약 이더리움이 한 방향이 확실하다고 하면, 같은 방향으로 갈 확률이 높다.

- 크기가 다를 수 있으나 대체로 방향은 같이 간다.

- 특정 상황에서는 더 힘을 받는다.

- 이더리움이 업그레이드하겠다고 한 것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전저가 깨지면서 비트코인의 하방 견인을 같이 했다.

- 최근 하락과 반등은 이더리움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생각.

- 이더리움이 차트 분석에 용이하다. 

-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왔고, 그로 인해 상승. 상단 트렌드 라인에 딱 맞게 떨어졌다.

- 이를 보고 이더 차트가 브레이크가 걸릴 것이라고 생각했다면, 비트코인도 고점을 예상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매억남은 이 트렌드 라인을 안 그어놔서 몰랐다.)

- 이더리움이 만약에 임펄스 하락이 나오려면, 첫 구간이 리딩으로 해석이 된다. (리딩 -2345)

- 그런데 비트코인은 그렇게 해석이 안 된다.(12345 혹은 121234545)

- 이더리움이 깔끔하게 해석이 되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첫 구간이 임펄스 5파로 보기는 어렵지만 한 파동으로 보는 게 맞지 않나. 따라서 비트코인이 12345로 나오는 것을 더 높게 보는 게 맞지 않나.

- 그러나 비트코인이 12345 이건, 12-12345-45이건 공통 구간이 존재한다.

- 숏 진입하고, 롱 스위칭한다면 거기까지는 공통 구간이 된다.

- 또 반등 왔을 때 숏 진입한다면, 연두 구간만큼 공통 구간이 또 나온다.(바로 폭락하거나 한 번 더 반등 이후 하락하거나)

- 매매하기에는 크게 무리가 없다.

- 쪼개서 다 발라먹겠다면, 좀 의미가 있겠지만. 그러나 그러다 탈 날 수 있다.

 

 

 

여기서 상방을 다시 본다는 게 어렵다.

- 단기 반등이 있을 것이다.

- 하단 트렌드 라인 지지 + 매물대 지지 + 상승 다이버전스 + 임펄스 5파 완성

- 롱 스위칭해서 반등 시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만약에 임펄스가 맞다면, 5파 완성 이후에 반등이 맞다면, 여기는 좋은 숏자리.

- 다음번 하락이 너무나 자명하다.

- 지금 나오고 있는 구간이 중요하다. 한 번 더 하락해서 5파가 나와주면 좋다.

- 큰 수익화할 수 있는 구간

- 그런데 지금 구간에서 올라가서 앞 구간이 abc였다고 하는 순간, 분석이 피곤해진다.

- 25k까지 떨어지는 것은 장기 시나리오 상으로는 괜찮다.

- 다만 지금 구간이 지켜져야 한다. 그래야 일봉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완성되면서 0.5구간까지는 상승이 가능하다.

- 25k에서 45k이면 큰 수익이 나오는 구간이다.

 

 

 

초보자는 매억남처럼 롱까지 먹으려고 하지 말고, 큰 관점인 숏만 진입해라.

- 왜냐면 지지라인에서 지지가 안 되고 연장이 될 수 있다.

- 1234 - 5-12345로 내리꽂을 수 있다.

- 그럼 초보는 대응이 안 된다.

 

 

 

 

상승 관점?

- A - 불규칙 B(abc) 나오고 C로 상승하는 시나리오

- 20년 9월 13일 구간과 비슷하다.

 

 

 

방송 도중 비트코인 반등이 왔다.

- 어려운 길로 가는 것 같다...

- 숏 탄 거 손절 쳐야겠다.

- 피보나치 382까지는 기다려봐야겠다.

- 피보나치 382 찍는다고 해도 abc 좀 크게 나왔다고 생각하고 5파 기다리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을 것 같다.

- 123 이후에 4파가 베어플래그로 나왔다고 생각하고 이 라인만 넘지 않으면, 5파로 내려간다고 봐도 될 것 같다.

- 손익비가 좋아서 들어가 볼 만하다.

- 방송 도중 다시 하락하다가 다시 반등 왔다.

- 382 넘어서 매물대 자리에서 저항 안 받으면 손절할 생각이다.(382를 넘었다고 바로 손절하지 않고, 매물대 관점까지 같이 본다는 점)

 

 

 

 

 

 

웨이브(WAVES)

- 바닥 가격에서 거래량이 터졌다는 것은 좋은 시그널이다.

- 모양도 임펄스 나온 것 같다. 조정 파동이 한 번 더 내려오면 상승을 봐도 좋을 것 같다.

- 비트코인이 만약에 25k 가서 웨이브가 빠져준다고 하면, 웨이브 담아도 괜찮아 보인다. 

 

 

 

 

 

억남이형 엘리어트 파동이론 읽고 나서 어떻게 차트에 대입하며 공부했는지 보여줄 수 있어요??

- 지금 하듯이 했다....

 

 

 

아직도 리플 안 좋게 보시나요?

- sec 승소하면서 반등 나올 것이라고 보는데, 매물대가 너~~~어무 많다.

 

 

 

 

 

나스닥(NQ1!)

- ABC(abc)가 됐다. 

- 또 상승 다이버전스 걸릴 자리라고 봤는데, 안 걸렸다. (매억남 이게 왜 안 걸리지? 걸릴 자린데)

- 상승 관점을 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 추세 이탈했다. 

- 크게 봤을 때 하락 ABC가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 그렇다면 무난하게 382까지는 올라올 것이고, 0.5구간까지 오를 것이라고 생각해서 롱 보는 게 맞다.

 

 

 

AXS(엑시)?

- 지난 방송 엑시 롱 자리도 맞는 것이었다.

- 비트코인이 만약 25k 찍고 반등 나오면 엑시도 같이 반등 나오면서 상승 다이버전스 나올 자리다.

- 그러면 크게 올라갈 것 같다.

 

 

 

형님 숏탔는데 익절라인 어디쯤일까요?

- 첫 번째 익절은 항상 빨리 잡아서 29150쯤 잡았다.

 

 

 

 

억남님 저는 지정가 매매만 합니다.. 요 몇 주간 계속 방향을 거의 다 잘 봤는데 지정가 매매하다 보니 계속 탑승을 못하고 보내는 경우가 태반인데 그럴 때는 정말 그냥 보내고 속 쓰린 게 맞는 건가요... 억남님은 그런 경우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 반반이다.

지정가 매매시 진입안되면?

- 터무니없이 안 오면 안 한다.

- 아슬아슬하게 안 맞으면 추격할 때 있다. (예를 들면 382 근처까지는 왔는데 50달러로 안 맞거나 그럴 때. 수학이 아니라서 딱 맞아떨어지지 않는다.)

 

 

 

 

- 비트 어제 헤드 앤 숄더로 보면 되나요?

- 그렇다. 모양, 넥라인, 거래량 명확하다.(헤드의 거래량이 숄더의 거래량보다 많지 않아도 되나 보다.)

 

 

 

휩쏘일 때 어떻게 대응?

- 대부분 재진입할 때가 많다.

- 롱이 속임수였다는 것은 내리기 위함.

- 빨리 재진입한다. 늦게 재진입하면 안 된다.

 

 

 

안녕하세. 4시간 봉에서 파동이 a파동이 3 파동으로 내려오고 소파동도 3 파동이라고 하셨는데 그럼 현재 내려온 파동이 복합파동이면 w이중지그재그 x 평범한 abc 그리고 y가 이렇게 하락장에는 5파로 나온다고 하셨는데 제 지식선에는 5파가 a가 되고 bc가 나와야 이 파동이 마무리되는 거 아닌가요? 5파로 335 조정카운팅은 플랫으로 알고 있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 플랫으로 앞 고점만 살짝 넘긴다고 말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고 길게 나올 때 많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