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들 폭락 중.
- 2018년도에 1/3 폭락 걸리는데 2달 걸렸었는데, 지금은 그래도 1/3 가는데 5달 걸리고 있다.
루나가 크게 하락 중(LUNA)
- 루나에서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 테라의 패깅이 깨지면서 폭락 중
- 생태계를 잘 꾸며놨다고 칭송받던 코인인데, 한 순간에 나락 갔다.
- 매억남도 테라 코인에 진입해 있는데, 나락 갔다. 손해가 엄청 크다.
- 루나가 어제만 해도 30달러였는데, 오늘 1달러까지 갔다. (10만 원에서 2천 원)
- 매억남은 루나 사태도 작전이었다고 생각된다.
- UST는 스테이블 코인이다. 스테이블 코인은 선물이 될 수가 없다.
- USTUSDT는 이상하다. (스테이블 - 스테이블) 시장이므로.
- 그런데 바이빗에 USTUSDT 선물이 상장됐다. 이것은 누가 알고 상장시킨 것이다.
- 합리적인 의심...
- 상폐는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크루드 사태랑 비슷하다.
- 오일 선물이 마이너스를 간 것.
- 기름을 사면 돈을 얹혀주는 것.
- 매억남도 1달러 미만에서는 살만하다고 생각해서 0.7~0.8에서 들어갔다가 선물이 터졌다.
- 선물에 마이너스 있는지 몰랐다.
- 지금도 매억남은 들어가 보고 싶다는 생각 중
- 그런데 들어가고 싶어도 시드가 없다.(싹 다 들어감)
- 왜 반등이 올 것 같냐면,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의 괴리가 3배가 난다.(300%)
- 현물이 3달러인데, 선물이 1달러였다.
- 괴리가 10%만 나도 진짜 많이 차는 건데, 여기서는 200% 차이 났다.
- 이 괴리를 커버해야 돈인데, 커버할 것 같아서.
- 숏 커버링을 하면, 괴리가 없어지면서 단기 반등이 나올 수 있다.
- 현물로 0.8달러대에 10억 들어가면, 8달러까지만 단기 반등 와도 10배니까 100억이 된다.
- 선물은 절대 안 되고.
- 커버링이 어느 정도 나오고 잇는 것 같다. 거래량이 바닥에서 터졌다.
- 1분 봉보면 0.7달러에서 2.8달러까지 4배 치솟았다.
- 루나 상폐? 그건 모른다. 가격이 떨어졌다고 해서 상폐를 시키지는 않는다.
- 루나 재단에서 법적으로 잘못한 것이 명확하게 있다면, 상폐될 수 있다. 이런 것에 엄격한 것이 코인 베이스다.
비트코인 분석 도중 루나 반등이 3.8까지 올라왔다.
- 루나가 망한다고 하더라도, 루나가 망하기 전에 숏 세력들이 숏 커버링을 해야 한다.
- 숏 커버링 : 포지션 클로즈. 포지션 클로즈하면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반등 오는 것.
테슬라가 비슷한 케이스
- 테슬라가 공매도 수혜주다.
- 170달러대에서 테슬라 숏이 엄청 들어왔다.
- 이때가 30달러까지 빠졌다가 100달러 넘게 치솟았는데, 재무제표가 좋지 않은데 왜 상승하냐는 여론이 많았다.
- 그래서 숏이 엄청 들어왔다.
- 마침 코로나로 주식 시장이 붕괴되면서 테슬라도 붕괴됐다.
- 100달러 후반이던 것이 60달러까지 1/3 토막 났다.
- 그러다가 숏이 하얀색 라인에서 터졌다.
- 이때 숏이 줄청산 나면서 테슬라가 줄곧 상승했다. (탄력 받아서)
- 지금도 테라가 비슷한 원리다.
- 테라가 0.8, 0.7이면 소멸되기 전에는 숏 커버링 해야 돈이다.
테더(USDT)는 실제로 달러를 예치하는 것이라서 실물 담보금이 있다.
- 그리고 DAI 스테이블 코인은 이더리움을 담보로 한다.
- USDC도 마찬가지.
- 테라는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 루나를 담보로 해서 UST(테라)를 발행한 것
- 최근의 문제는 루나의 시총보다 테라의 시총이 컸다.
- 그런데 루나의 시총보다 테라의 시총이 많은 것이 말이 되냐? 하면서 루나의 하락이 시작됐다.
- 이러면서 급격하게 하락했다. 그런데 UST는 스테이블 코인이니까 가격이 그대로다.
- 이게 말이 안 된다.(10억을 담보로 1억을 빌릴 수는 있지만, 1억을 담보로 10억을 빌릴 수는 없다.)
- 루나가 망하면, UST도 뱅크런(지급 불능 사태)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UST를 팔기 시작했다.
- UST의 매수자는 없는데, 매도자가 있으면서 패깅(스테이블)이 깨지면서 테라 또한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했다.
- UST가 정상가가 되는 시나리오는, 루나 코인의 가격이 회복하면서 UST의 시총보다 커져야 하는데, 이게 가능할까?
- 아니면 루나 재단이 가지고 있는 BTC를 매도하고, USDT를 확보해서, UST를 다시 사주면서 패깅을 맞추는 것 밖에 없다.
- UST의 패깅이 1달러가 다시 맞춰지면, 루나도 다시 신뢰를 해복해서 오를 가능성이 있다.
- 방송 시점에서 계속 오르다가 선물과 현물의 괴리가 없어졌다.
- 현물이 선물 가격보다 높은 시점에 매도해야 한다.
- 숏 커버링은 끝난 것이다.
- 그러자마자 하락했다.
- 그러고나서 방송 끝나갈 무렵에 다시 1달러로 하락...
USDT도 패깅 깨졌는데?
- 아니다. 이 정도는 간혹 가다 있어왔다.
비트코인 반등
- 롱 스위칭이 전략이었는데, 방송을 켜서 못 했다.
지난 방송
- 골자는 하락이었다.
- 비트코인이 추세장이다. 추세로만 움직이고 있다.
- 그런데 이 채널을 이탈했다.
- 18k까지 AB-C파동으로 떨어지는 것을 메인 파동으로 잡았었다.
- 만약 트렌드 라인에서 지지가 나오면, 더 상승한 후에 큰 하락 나온다고 봤었다.
상승장을 본다면 하나밖에 없다.
- 1234(러닝 플랫)이 나왔고, 5파가 나와서 80k 나오는 시나리오.
- 확률이 높지 않다고 말했었다.
- 빨간색 구간에서 임펄스 하락 이후 반등이 짧은 것 보니까, 리딩 다이아고(1파의 5파가 엔딩이 되면서 리딩) 날이 나온 것 같다.
- 12345가 나오면서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했다.
- 그래서 숏(오른쪽 빨간색)을 진입. 이후 익절, 롱 스위칭 이후 382까지 반등을 보려고 했었다.
- 그리고 올랐을 때, 숏 진입해서 하락 분에 대한 수익화를 가져가려 했었다.
- 그런데 올라가다 말고 폭락이 나와서 약 손절이 나갔다.
- 이 앞 구간에도 엔딩 이후 반등이 나와야 했는데, 되게 짧았다. 그래서 이 구간도 그런 것 아닌가 생각했다. 엔딩이 나왔지만, 짧게 반등
- 엔딩 이후부터 12345 카운팅이 된다. 그러면 3파가 나온 것.
- 4파가 수렴으로 나오고, 5파가 나오면 12345가 다 나온 것이다.
- 5파가 끝나고 반등이 나오겠다고 예상.
- 매억남은 그래서 4파의 끝 무렵에 숏 진입했다.
- 그리고 부분 익절들을 했고 아래에서 롱 스위칭하려고 했는데, 방송하느라 스위칭은 못 했다.
- 왜 반익절을 거기서 했냐?
- 수익화해서 전체 매매를 이익으로 가져가려고.
- 이 구간이 삼각 수렴이라면 손절은 위 트렌드 라인에서 하면 된다. 손익비가 너무 좋다.
- 지금부터가 갈림길이다. 분기점(초록색)
- C파가 여기까지 떨어질 것이냐(빨강), 아니면 러닝 플랫이 여기서 끝나서 5파 찐 상승을 갈 것인지(흰색).
- 지금부터 임펄스가 5 파동이 아주 예쁘게 나오면 이 매물대 맞을 것이다. 그리고 조정이 온다면, 무조건 롱 진입해야 한다.
- 왜? 다음 파는 3파이니까 크게 나올 것이므로
- 여기서 이렇게 나오면 일봉상 상승 다이버전스도 나온다.
- 일봉상 다이버전스는 추세 전환이 크게 된다.
- 예를 들면 이전 일봉상 하락 다이버전스가 떴을 때 두 번인데, 추세가 크게 전환됐다.
- 이번에도 일봉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오면 크게 전환된 가능성이 많다.
- 매물대 관점에서도 계속 지지받는 구간이다. 초보라도 보일 지지자리.
- 지지가 나올 자리에서 지지가 나오면, 매수세가 붙을 것이다.
- 만약 이런 지지 구간을 못 지키고 뚫는다면. '아 폭락장이구나'하고 사람들이 던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하락이 더 촉발될 가능성이 높다.
- 이 변곡점에서 임펄스로 v자 반등이 나오면서 나오면, 다음 조정 눌림목에서 롱 매수가 유리한 매매계획이다.
- 지금 나오는 상승이 진짜 상승인지 아닌지를 임펄스를 통해서 알 수 있다.
- 그런데 여기서 만약 아래로 임펄스가 나오면, 아마 5 파동 끝나고 반등 나왔다가 떨어지는 것 아닌가 생각할 수 있다.
- 크게 봤을 때 A(abc) B(abc) C(535 abc)로 하락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이렇게 카운팅 하는 것이 정석은 맞다.
- 그런데 C파의 a파 임펄스 이후 상승 전에 롱 진입하려는 사람들에게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 중요한 것은 지지/저항 관점도 봐야 한다.
- 왼쪽 12345처럼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오른쪽처럼 1234 이후 5가 연장돼서 5-12345가 나올 수 있다.
- 이러면 해당 구간에서 스위칭 걸었다가 나락 갈 수 있다.
- 그래서 이 구간에서는 '숏 익절 및 롱 스위칭 & 익절 이후 숏' 전략보다는 롱 구간은 두고 숏만 수익화하는 게 좋을 수 있다.
- 이 롱 구간이 달달해 보이지만 꼭 주의해야 한다.
이전 임펄스 + 폴링 웻지 구간에서도 숏 익절 및 롱 스위칭, 숏 스위칭 전략을 다 하려고 했다.
- 만약 여기서 롱 진입해서 손절하지 않고 버텼다면 지옥 갈 수 있었다. 청산됐을 것이다.
엑시 AXSUSDT
- 4시간 봉 상승 다이버전스 나왔다.
- 딱 지지받을 구간에서 지지받았다.
- 비트만 안 빠지면 현물 나쁘지 않은 것 같다.
형님 만약여기서 롱타실거면 5분봉기준 3-4파로 생각되는 매물대구간에서 롱 잡으실건가요?
- 손익비가 너무 안 좋다.
- 손절라인이 너무 멀다.
- 평소같으면 들어간다.
- 30분 봉 상승 다이버전스면 못가도 abc 나오면서 매물대 뚫고 올라갔다가 떨어진다.
- 일반적으로는 그런데, 지금은 큰 하락장.
- 계속해서 반등이 적다.
- 앞 구간에도 반등이 더 크게 나왔어야 하는데, 작게 나왔다.
- 그래서 지금은 모르겠다. 롱 보는 자리는 맞으나, 반등이 너무 적어서 고민된다.
'코인 공부 & 매매 복기 > 매억남 라이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5.18) (0) | 2025.03.04 |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5.15) (0) | 2025.03.03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5.08) (0) | 2025.03.01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5.05) (0) | 2025.02.28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5.01) (1) | 2025.02.2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