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시점
- 트래블 룰 시행됐다.
- 지하 자금 막기 위한 금융 실명제 같은 것이다.(KYC 인증된 거래소만)
알트
- 반년 동안 알트 코인 안 들어갔는데, 반면만에 롱 들어갔다.
- BAT
- 확률상 알트 코인이 오를 것 같다.
- 하락 추세를 벗어나서 고점이 낮아지고, 저점이 올라가는 삼각 수렴을 유지 중이다.
- 비트코인은 오르거나, 횡보하거나, 떨어지거나 중에 하나다.
- 비트코인이 떨어지지만 않으면, 알트 코인이 오를 확률이 높다.
- 확률상 알트 코인에 들어가기 좋은 시점
- 그래서 BAT를 롱 들어갔고, 짧게 익절 했다.
- 들어간 가장 큰 이유 : 일봉상 상승 다이버전스
- 이 부분이 공부하기 좋은 차트 : BAT
- 차트 상으로 abcde 파동인 것
- 패턴으로 보게 되면 끝이 아래를 향하는 뾰족한 삼각형(폴링 웻지)
- 폴링 웻지가 완성되면 추세가 반대로 상승하는 패턴.
- 반대로 라이징 웻지는 완성되면 추세가 반대로 떨어지는 패턴.
- 엘리엇 파동이론 상에서도, 패턴에서도 상승하는 시나리오가 맞다.
- 일 봉상 상승/하락 다이버전스라는 것이 자주 뜨는 것이 아니다.
- 밑에서 말할 아담과 이브 패턴
1. 엘리어트 파동 카운팅 abcde
2. 폴링 웻지 패턴
3. 일봉 상 상승 다이버전스
4. 아담과 이브 패턴
- 1년에 1~2번 밖에 뜨지 않기 때문에 좋은 찬스다.
- 매수 근거 일 봉상 상승 다이버전스 나왔고, 카운팅상 A, B 나왔고 C 파를 수익화하자.
- 이 코인 말고도 여러 코인들이 비슷하게 상승 다이버전스 이후 상승하는 것이 꽤 있다고 말했었다.
- 매억남은 방송 다음날 세럼을 샀다.(SRM)
- 방송 이후 첫 축포를 터뜨린 것도 세럼이었다.
- 이 종목도 똑같이 상승 다이버전스 + abc 파동으로 상승
- 링크도 마찬가지(LINK)
- 이렇게 폴링 웻지가 보인다.
- 그 이후에 일봉상 상승 다이버전스 확인이 가능하다.
- 그 이후 ABC로 올랐다.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계속 빠졌다.
- 비트코인이 올랐는데, 알트 코인이 훨씬 많이 오른 것을 의미한다.
도움이 되는 패턴
- 아담과 이브
- 떨어질 때 v자 반등이 나왔다가 다시 u자로 떨어지면서 라운드로 지지를 받는 것 -> 이렇게 올라간다.
- 더블 바텀이라고 봐도 되고, w자 패턴이라고 보기도 한다.
- V(아담)-U(이브) 패턴
비트코인 매매
- 숏 진입 - 반 익절 - 25% 익절 - 본절 역지정
- 그래서 큰 수익 없었다. (작은 구간)
- 숏 재진입 - 25% 익절 - 본절 역지정
- 여기도 역시 작은 수익
- 현재 비트코인이 계단식으로 올라가고 있다.
- 평행한 채널이라고 보기보다는 라이징 웻지라고 보고 있다.
- 그렇기 때문에 숏만 보는 것이 첫 번째 관점이었다.
- 30분 봉 하락 다이버전스 확인
- 계속 고점을 높이고는 있는데, 트렌드 라인이 짧기 때문에 손절 라인을 굉장히 짧게 잡을 수 있는 구간들이다.
- 추세가 위로 터지면 손절하면 되니까.
- 손익비가 좋아서 위로 오를 확률과 아래로 떨어질 확률이 반반이라고 해도 들어가야 하는 자리라고 본다.
1. 계단식 상승 중 하락 다이버전스.
2. 트렌드 라인 상단 저항.
3. 폴링 웻지 패턴.
4. 손익비상 유리한 자리.
- 위 근거들로 숏 진입
- 첫 매물대 하단에서 반 익절
- abc로 나오고 반등 나올 것 같아서 스탑 로스 걸어놨었는데 25% 익절 됐다.
- 이후에 주황색 원에서 숏을 잡으려고 했었다. 실시간으로 보고 있었는데 갑자기 생각이 든 것
-주황색에서 빠질 거였으면, 앞 연두 구간에서 충분히 빠질 수 있었다고 생각했다. 왜? 이미 연두 구간에서 하락 다이버전스까지 나왔고 하락했으니까.
- 그런데 많이 빠지지 않고, 상단 트렌드 라인을 건드린다는 것 -> 수상하다.
- 또 시간 봉상 양봉 마감되면서, rsi가 올라가 버렸다. 최소한 하락 다이버전스는 없다는 것이다.
- 이 구간에서 함부로 숏 들어가면 안 되겠다고 관망.
- 그런데 올라갔다. 숏은 최소한 잡으면 손해가 날 수도 있겠다 싶어서 안 잡았다. 왜? 여기서 전고점 뚫고 올라가면 지지 구간이 없어서.
- 그런데 떨어지는 것을 다시 확인하고 숏 진입했다.
- 왜? 다시 들어왔다는 것은 앞서 돌파가 페이크였다는 것을 의미
- 매물대에서 지지를 받고 반등 나오면 숏 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했다.
- 그래서 이 지점(두 번째 주황)에서 숏 진입했다. 그리고 여기서는 자신 있었다. 80% 이상 크게 하락할 것이라고 봤다.
- 떨어지려면 최적의 타이밍이 두 번이나 있었는데, 그렇지 않았다.
- 음봉이 크게 나올 자리여도 이상하지 않는데, 그렇지 않았다.
- 휩쏘가 나왔다는 것은 다시 아래로 가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 불트랩이라고도 한다.
- 이런 구간은 빠지면 이렇게 크게 빠진다.
- 지금 채널을 이탈했는데, 큰 음봉 이탈도 안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상하다.
옛날 차트와 비슷한 구간이 있다.
- 2018년 4월과 비슷하다.
- 매억남도, 시장도 숏을 보고 있었다.
- 연두라인부터 임펄스가 안 나오고 있어서 상승 보기 힘들다.
- 또 헤드 앤 숄더 패턴이 나오면서 다 숏 진입했는데
- 계단식으로 계속 올랐다.
- 매억남도 크게 손절 나간 구역이다.
또 비슷한 구간
- 2018년 9월
- 이 구간은 떨어질 때 됐는데 됐는데 했는데, 꽉 찬 음봉으로 내려왔다.
알트 코인들의 순환매가 돌고 있다.
- 순환매에는 대장주가 없다.
- 불장에는 대장주가 있다. 불장에서는 A코인이 50%, 70%, 100%를 계속해서 오르는 게 불장이다.
- 순환매는 A가 올랐고, 다음날에는 (A는 조정받고) B가 오르고, 그다음에는 C (B가 조정받고)가 오르는 형식이다.
- 순환매는 언제까지 지속될지 모른다. 그러나 내가 산 그날 끝물일 확률은 크지 않다.
- 순환매가 오면, 이 순환매가 끝날 때까지 계속 먹는 것이 정석이다.
질리카(ZIL)
- 매억남은 질리카를 이야기하려고 했었다.
- 그런데 방송 켜기 전보다 또 올랐다.
- 상장 이후 이렇게 터진 적이 한 번도 없었다.
- 주봉, 월봉 등 다 거래량 터졌다.
- 월봉이 마감 직전(3일 전이었다.)인데, 월봉이 꽉 차서 거래량이 터졌고 마감한다면 -> 더 오른다는 소리다.
- 순환매에는 대장주가 없었는데, 이제 대장주가 나오는 느낌이다.
- 대장주가 나오면 후발 주자들이 대장주만큼은 아니지만 따라 오르는 느낌이 있다.
- (방송 시점 기준) 내일 아침 9시 봉마감이 중요하다. 윗꼬리 크기 없이 봉마감이 됐다고 하면 조정받고도 다시 오를 확률이 높다.
- 더 확실히 보려고 하면, 2 거래일 정도 음봉인데, 음봉이 618 지점을 거래량이 오를 때의 1/3 수준 밖에 안 된다고 하면 거의 다시 올라갈 확률이 높다.
- 그럼 이게 대장주 굳히기다.
- 중요한 것은 윗꼬리가 크게 없이 양봉마감 되면 베스트다. 그러고 나서 2일 정도 음봉 마감이 나오는데 거래량이 이전 양봉의 1/3만 되면, 이 구간은 매집봉이고 뚫으면서 장대 양봉 나올 확률이 높다. (같은 말)
- 이것조차 위험이 있다고 본다면, 뭐 하면 되냐?
- 음봉이 나오면서 거래량이 죽으면, '대장주가 오를 확률이 높네' -> 그런데 다 오른 것 사려니까 손익비가 안 좋다 -> 대장주인 질리카 말고, 어차피 다른 후발 주자들도 오를 테니까, 후발주자를 찾는 게 더 좋다.
- 덜 위험하고, 수익은 더 크게 볼 수 있다.
- 그럼 2가지만 생각하면 된다.
- 질리카는 왜 올랐을까?
- 종목 분석할 때는
1. 테크니컬 분석(차트적)
2. 재료 관점 분석(투자 관점)
- 질리카를 검색해 보면 왜 올랐는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 그 오른 이유와 같은 테마에서 오를만한 코인을 사면 된다. 주식도 대장주 나오면 대장주가 엮인 그룹들의 다음 주자들을 사면 된다. 2 등주 매수.
(매억남은 방송하면서, '질리카가 뭐 하는 코인이야'라고 했다)
- 시청자 왈 : 메타버스 관련 코인
- 그러면 메타버스(재료 확인) 관련 코인들 중에서 이런 패턴(테크니컬 분석)을 동일하게 보이는 것들을 매수하면 된다.
- 있다면 30분 안에 찾을 수 있다.
- 여기도 아담과 이브, 폴링 웻지, 상승 다이버전스가 보인다.
- 그런데 유독 많이 올랐다.
샌드박스도 메타버스인데 어떤가요?
- 샌드박스 차트를 보면 좀 모양이 달라 보인다.
- 샌드박스는 이미 많이 올라있었고, 대장주였기 때문에 덜 떨어졌다.
- 질리카 같은 경우는 올랐던 것 다 반납하고 오르는 모양.
- 차트 모양이 질리카와 비슷하거나 자체적으로 그냥 차트 모양이 좋으면 갈 수도 있다.
- 더블 바텀 지지를 받았다.
- 잘 모르겠다. 좋아 보이는 것 잘 모르겠고, 오를지 떨어질지도 잘 모르겠다.
- 지지를 받았지만, 잘 모르겠다.
디센트럴랜드
- 잘 모르겠다.
- 재료가 질리카와 비슷하다고 하면 오를 수도 있지만, 차트상으로는 보이는 게 없다.
엔진(ENJ)
- 시청자: 메타버스 중에 질리카와 가장 비슷한 게 엔진이다.
- 아담과 이브가 있고, 상승 다이버전스가 있다.
- 지난 방송에서 여기서 사라고 했었는데, 지금 쫓아가기에는 살짝 무리가 있어 보인다.
- 일봉 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오면, 매물대 하단까지 가는 것은 국룰이다. 거의 80%.
칠리즈(CHZ)
- 칠리즈도 일봉상 상승 다이버전스 + 아담과 이브가 있다.
- 이거 진입한 사람은 잘한 것이다.
- 그런데 여기서 이제 꺾이면 네 시간 봉상 하락 다이버전스다.
- 그렇기 때문에 이거는 어떻게 나오는지 봐야 한다.
- 하락 다이버전스 나오면 꺾였다가 다시 오를 모양.
- 엔진도 비슷하다. 하락 다이버전스 나올 수 있는 모양이다.
비트코인 21년 1월 -3월 패턴하고 지금 시점과 비교해 주세요
- 안 비슷한데?
- 앞 구간은 ABC(335)가 나오면서 엔딩 다이아고날이 나왔다.
- 지금 구간은 ABC가 아니라 수렴 중으로 보인다.
- 안 비슷해 보인다.
연습하는 가장 좋은 방법?
- 엘리어트 파동은 사람마다 다르다.
- 2018년 6-7월 차트를 봤을 때, 12345 상승 파동 나왔다. 떨어질 때 풀매수하면 상승 갑니다 했던 사람들 다 지옥 갔다.
- 그런데 줄곧 하락을 했다.
- 주관적 해석이다.
- 매억남은 무조건 ABC다. 12345로 보면 기본이 안 되어있는 것이다라고 말했었다.
- 왜냐면 딱 봐도, 추세가 세 개 밖에 안 나왔다. 만약 더 올라서 4, 5가 나오고 조정받으면 그것은 임펄스인데, 아니었다.
- 이걸로 다른 사람들이랑 많이 싸웠다.
- 그래서 과거 차트를 봐야 한다.
- 과거 차트를 계속 분석하면서 라이브와 비교해 보면 좋을 것 같다.
비체인?(VET)
- 이 차트가 질리카랑 가장 비슷하다.
- 왜냐면 질리카도 고점 이후에 신저점이었다.
- 비체인도 고점 이후에 신저점
- 아담과 이브, 일봉 다이버전스 있다.
- 그러면 이제 차트는 비슷하다.
- 재료를 비교해 봐야 한다.
- 질리카가 오른 이유와 비슷한 이유가 존재하면, 매억남이라도 살 것 같다.
체인링크(LINK)?
- 매억남도 매수한 종목
- 폴링 웻지 + 일봉상 상승 다이버전스 + 아담 이브
- 그러나 생각보다 아직 안 올랐다.
- 일봉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오면 아주 높은 확률로, 조정을 주더라도 전 매물대를 찍을 확률이 많다. 그래서 아직 상승 여력이 남았다. 그리고 끝나지 않고 한 번 더 오를 확률이 높아 보인다.
코인 장기적으로 어떻게 대응?
- 비트코인만 이 라인 안 깨면 알트 코인의 계속적인 순환매를 먹으면 될 것 같다.
금 차트?
- 반등이 나오긴 했다.
- 다행히 임펄스 하락은 아니다.
- 금 쌍고 찍긴 했다.
- 쌍고 불길하다.
- 매억남은 금 5년 보고 들어갔다.
- 양적 완화한다고 그렇게 풀었는데, 인플레이션이 안 올 수 없다 생각.
- 금은 차트 봐도 솔직히 잘 모르겠다.
- 매억남은 글을 불리쉬 하게 본다.
- w(abc) x(abc) y(삼각 수렴)로 나온 것 같다.
- 조정을 마치고, 상승이 나왔다가 쌍고를 찍고 조정받고 크게 장대 양봉 나올 가능성 있다.(차트를 객관적으로 본 것이 아니라 시장 상황상 추정)
-
'코인 공부 & 매매 복기 > 매억남 라이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3.29) (1) | 2025.02.19 |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3.28) (1) | 2025.02.18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3.16) (2) | 2025.02.16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3.11) (0) | 2025.02.15 |
매억남 라이브 리뷰(22.03.09) (1) | 2025.02.1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