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친절한 재승씨 설명

분기 현상(다이버전스) - 이전의 고가(저가) 보다 상승(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조지표 RSI는 이전의 고가(저가)를 냈을 때의 수준보다도 아래(위)에 위치하는 현상.

 

출처 : 친절한 재승씨

쉽게 말하면

 

  • 하락 다이버전스(하락 신호) → 윗꼬리 
    • 주가는 오르는데 rsi는 내린다.
  • 상승 다이버전스(상승 신호) →  아랫꼬리
    • 주가는 내리는데 rsi는 오른다. 

 

 

 

 

2. 매억남 다이버전스 설

https://www.youtube.com/watch?v=zpS-gohjNlk

 

- 급락이 나와야 rsi가 과매도 구간까지 내려간다.

- 한 번의 급락 이후, 또 한 번의 급락을 하게 되면 rsi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게 되면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뜨지 않는다.

하지만 한 번의 급락 이후, rsi가 과매도 구간 근처까지 갔다가 올라가는 자리가 생길 수 있다. 이때 가격은 빠졌지만, rsi는 올라가는 자리가 생길 수 있다.

- 단기 추세에서부터 장기 추세까지 다 적용이 가능하지만, 장기 추세일 수록 더 크게 추세가 전환되고 정확하다. 

- 임펄스에서는 잘 뜬다. 보통 3파가 길게 상승/하락하면서 성립한다.(다시 말해 3파의 끝과 5파의 끝에서 발생 → 5파가 끝나면서 하락 조정 파동이 나오는 타이밍과도 일치)

- ABC파동의 경우도 A가 많이 올라가고, C가 작게 뜨면 성립할 확률이 높다.

- 만약 ABC 조정 파동의 끝에서 나온 상승 다이버전스와 그 C파동의 소파동(임펄스 3,5파)에서의 상승 다이버전스가 맞아떨어지게 된다면(동시 컨펌), 가장 아름다운 ABC 종결로써 롱 포지션을 잡을 수 있다.

- 핵심 포인트 : 한 번 강하게 올려치고, 그다음에 얼마 못 올릴 때 잘 나온다.

 

- rsi 자체를 보조지표로 활용해라. rsi 인디케이터는 정확도가 낮다.

- 왼쪽 차트 : 짧은 상승 파동 이후, 긴 상승 파동

- 오른쪽 차트 : 긴 상승 파동 이후, 짧은 상승 파동

- 왼쪽 차트의 경우,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올 확률이 없다. 하지만 오른쪽 차트의 경우, 하락 다이버전스가 성립할 확률이 높다.

- 하락 다이버전스 : 긴 상승 추세와 짧은 상승 추세가 나오면,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올 확률이 높다.

- 다이버전스는 급등/급락시 나올 확률이 높다.

 

 

 

 

3. 각종 블로그

#다이버전스 생성과정(예시 : 하락 다이버전스)

1. 첫 번째 고점 생성

1) 주가가 보합권에 정체되어 있다가, 강한 재료로 상승

2) 캔들의 변화폭이 커지면서 상승 추세를 생성

3) rsi는 극단적으로 상승하여 70%(과매수구간)을 상회

4) 추세가 진행되다 보면 저항에 부딪히고, 초기 투자자들의 매도 물량이 발생 → 조정 발생

5) 조정이 진행되면서 rsi 또한 낮아진다.

6) 주가의 고점과 함께 rsi 모두에 봉우리가 생성.

 

2. 두 번째 고점 생성

1) 이전 추세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추세로 상승

2) 전고점(첫 번째 고점)을 돌파하면서 투자자들의 수익 실현이 활발

3) 캔들당 상승폭이 작아지고 음봉이 많이 발생

4) rsi 또한 상승했지만 전고점(첫 번째 고점)보다는 작게 상승

→ 이전의 고점보다 주가는 상승했지만 rsi는 작게 상승

 

 

#다이버전스의 심리

- 하락 다이버전스가 발생했기 때문에, 주가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 강한 추세가 발생한 이후에 첫 번째 고점, 이 고점을 돌파하는 움직임이 투자자들의 수익 실현 기회가 되었기 때문에 매도 물량이 강하다. 따라서 하락 다이버전스가 발생한다.

- 기존 고점이 강한 심리적 저항선이 되기 때문에 전고점을 돌파할 때 매도 물량이 발생 → 주가 하락(추세 전환)

 

 

 

#다이버전스를 활용한 매매의 승률을 높이기 위한 TIP

1. 과매수 구간(30%), 과매도구간(70%) 근처에서 정확도가 높은 다이버전스가 발생한다.

2. rsi값의 차이가 너무 크면 안 된다. (5~10%) → 멘토님 검증필요

3. 장기 추세의 다이버전스 일수록, 추세전환이 강하며 정확하다. 

4. 다이버전스가 중첩될수록, 강한 추세전환 신호이다. → 더블 다이버전스

5. 거래량과 함께 보면 더 좋다.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오기 전 거래량이 감소/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오기 전 거래량이 증)

6. rsi의 좌측이 과열권(과매도/과매수)에 도달하는 것이 신뢰도가 좋다고 생각한다.  → 멘토님 검증필요

 

 

 

QnA.

1. 만약 다른 타임스케일에서 다이버전스가 상이하다면, 이럴 때 어떤 기준을 잡고 컨펌됐다고 생각하는가?

- 추세가 강할수록 작은봉부터 큰 봉까지 순서대로 점점 컨펌된다. 깨질 때도 작은 봉부터 큰 봉 순서로 깨진다.

 

2.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