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이후 최대 낙폭이라고 할 정도로 증시가 빠졌다. 코인, 미주, 국장할 거 없이 빠졌다.

-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 경기침체가 올 것인가? 온다면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좌) 경기침체의 급락-반등 형태 (중) 현재 코인이 고점대비 30% 이상 가격 하락했다. (좌) 현재는 상봥 쐐기 형태가 나오고 있다.

- 경기침체가 오면 급락-반등의 형태가 있다.

- 현재에서는 재차 큰 급락은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 코인의 경우, 고점대비 30% 이상 가격이 하락했다.

- 현재 반등이 상방 쐐기 모양으로 올라오고 있다. 상방 쐐기는 상방으로 수렴하다가 하방으로 조정이 오는 패턴을 의미.

- 상방 돌파를 하지 않는 이상, 하방 돌파를 할 것이고 어느 정도 재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좌) 하락 다이버전스 또한 존재 (우) 상방 쐐기 조정의 크기

-15분 봉을 보게 되면, 고점을 단기간에 갱신하고 있다. 반면에 rsi는 빠지고 있다.

- 주가는 상승하는데, rsi 보조지표는 빠지면서 하락 다이버전스를 그리고 있다.

- 정석적으로는 조정이 올 것 같지만, 한 번 더 크게 빠질 이유는 보이지 않는다.

- 이번 조정이 저점을 갱신하는 조정이라기보다 상방 쐐기 입구의 피보나치 0.5구간 조정까지 예상.

- 현재 숏 포지션에 들어간다면, 손절 라인은 위 초록색 원형 부근, 익절 라인은 0.5구간 조정 근처

 

 

(좌) 쐐기가 상방한다면 (우)

- 그러나 만에 하나 쐐기의 상방을 넘긴다면, 급격한 상승이 오지 않을까 생각 중이다.

- 이전의 저점을 뚫으면서 폭락이 왔던 자리.

- 이점을 갱신하면서 정상 가격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많은 것을 의미한다.

- 안전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 하락 다이버전스 + 상방 쐐기가 형성되었는데도 상승한다면, 보통 급격한 상승이 나온다.

 

 

(좌) 2020년 코로나 폭락과 닮아있다. (중) 급락+계단형 상승 + 상승 쐐기형태 (우) 리딩 다이아고날

- 이전의 비슷한 양상이 있었다.(급락-계단형 상승)

- 2020년 코로나 시기. 거의 모든 자산이 하락했던 시기(급락-계단형 상승)

- 웻지의 형태도 비슷하다.

- 이때도 상승 쐐기에서 하락하지 않고 상승했다.

- 이때도 애를 먹었다. 결국에는 임펄스 혹은 리딩 다이아고날이었다.

- 대세 상승장의 시발점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리딩 다이아고날 형태가 나왔고, 얕은 조정이 있었다.

 

 

(좌) 상승 다이버전스 (우) 현재 숏자리에서도 상승 다이버전스 가능

- 여기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시간봉으로 보면, 상승 다이버전스가 있었다. 그리고 상승했다.

- 현재 숏 자리에서도 살짝 떨어지는 상황에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걸릴 수 있고, 재차 상승할 것을 염두에 두고 있으면 좋다.

 

 

(좌) 큰관점에서 여전히 4파 (중) 다만 4파의 조정이 예상보다 좀 더 깊다 (우)

- 차트 상에서는 여전히 4파로 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큰 관점)

- 왼쪽처럼 4파의 조정을 0.618까지 봤었는데, 중간처럼 큰 조정이라고 봐도 될 듯하다.

 

 

(좌) 러닝 플랫 형태 (우) 618까지의 조정

- 러닝 플랫 1,2 - 3,4 - 5파  → 러닝플랫 패턴 공부할 것

- 이렇게 볼 경우 한 파동이 다 끝난 것이긴 하다.

- 이렇게 본다하더라도 618까지의 저점대비 조정이 있었다.

 

(좌) 0.5구간까지의 조정 (우) 과거 차트에서는 382구간까지의 조

- 러닝 플랫의 형태로 본다고 했을 때, 618을 넘기고 0.5를 찍었다. 그래서 마음에 드는 형태는 아니지만 이전에도 이런 차트가 있었다. 

- 매억남은 피보나치를 크게 본다. 대게 618을 넘기지 않는다.

- 과거 차트에서는 거의 382까지 조정이 있었지만, 1파와 4파의 갭이 컸다.

- 현재 차트에서 618을 넘어서 0.5구간까지 왔다 → 0.5구간까지 왔기 때문에 4파 구간으로 보지 않을것이냐. 아니면 엘리어트 파동 법칙을 준수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4파로 볼 것인가.

- 피보나치와 카운팅의 우선순위 : 카운팅 > 피보나치 → 여전히 4파로 보고 있는 것이 맞는 것 같다.

 

 

- 현물의 경우, 이번 하락장이 좋은 매수시장이었다. 매수하지 못했다면, 다시금 조금 떨어지는 장에 사면 좋을 것.

- 하지만 저점 대비 많이 올라왔기 때문에, 물리면 어려울 수도 있다. (인생배팅할 자리는 아니다)

 

 

- 대단한 이유가 없는 이상 재차 큰 하락은 없을 것 같다.

- ETF 순 유출(ETF 매수<매도, 즉 기관이 팔았다)가 많았고, 마운팅 곡스+독일정부 고유물량이 있었다. → 마운팅 곡스 공부할 것

- 예전 같았으면 더 크게 빠졌을 텐데, 지금은 적당히 빠졌다 → 예전보다 펀데멘털이 더 좋아졌다.

- 지켜 봐야 한다. 조정이 왔을 때, 피보나치 0.5구간에서 지지를 하고 오르는지 → 불리쉬

- 고점으로 갈것이라면, 계속해서 조정이후에도 임펄스로 나와줄 것이다. 

- 2주 ~ 1달간 이 구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카카오

(좌) 주봉상다 더블 (중) 예상 반등 구간 (우) 손절 라인이 이전 매물대이기 때문에, 회복 후 매도가 낫지 않을까

- 주봉상다 더블이다. 아직 컨펌 되지 않았지만, 경기 침체에 대한 안정으로 반등이 오면, 더블 주봉상다가 컨펌된다.

- 그러면 적어도 오른쪽 사진 구간까지 간다.

- 만약 주봉상다가 없고 경기침체로 인해 코스피, 코스닥이 계속해서 빠진다. → 손절라인을 2만원대로 가져갈 수 있지만, 매물대라서 큰 의미는 없을 수 있다. → 경기 회복 후 카카오 펀데멘덜 회복까지 기다렸다가 파는 것이 낫지 않을까.

 

 

이더리움

- 임펄스 확실히 실패한 모습

- 저점 이후, 1-2-1-2-1-2라고 보기에 이상하다. 언제까지 1-2라고 볼 수 없다. 결국 고점을 못 넘기고 임펄스 실패.

- 수렴형 조정이 계속해서 나오지 않을까. 떨어지더라도 단기 반등 지지라인이 아래쪽 지지선 형성.

- 수렴이 끝나고 나서 상승하더라도 그때 올라가지 않을까.

- 비트코인이랑 관점을 맞춘다면, 비트코인이 올라갈때 5파가 남았다. 이더리움도 올라가겠지만, 많이 못 올라간다.(수렴형 안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 비트가 재차 빠졌을 때, 이더는 많이 빠지지 않고 적게 빠진다. (수렴형 안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 만약 비트가 계속 빠지면, 이더 또한 지지선을 뚫고 계속 빠질 것이다.

 

- 매억남의 관심은 비트코인보다도 '경기침체'이다.

- 비트코인, 금, 주식, 부동산 모두 염두에 두고 경기침체에 대한 대응을 고민중이다.

 

 

 

 

오늘 분석에서 배운 점 & 공부할 점

1. 경기 침체에 대한 관점을 차트 분석을 하는 평소에도 볼 필요가 있다.

2. 마운팅 곡스 공부하기

3. 리딩 다이아고날 복기하기

4. 러닝 플랫 패턴 공부하기

5. 하락 다이버전스 + 상승 쐐기 형이 나오면 보통 하락하나, 상승이 나오면 급반등하는 경향이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