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방송

- 신고점을 뚫고 조정 - 반등 - 다시 고점을 넘길 것 같았던 시점

- 하방을 봤었다. 숏 포지션 진입한 상태

- 떨어진 이후에 abc 반등이 와서.

- 피보나치 0.5구간에서 반익, abc로 떨어지게 되면 완익 예정이라고 말했었다.

 

 

 

실제 매매

- 완익을 여기서 했다.(초록색 부분). 그리고 롱 스위칭

- 왜? 15분 봉 상 임펄스가 하나 나온 것 같아서, 반등이 오면 숏을 다시 진입하려고 했다.

- 그런데 하락하면서 오히려 롱에 대한 손절이 났다.

 

 

 

리플

- 이쯤(빨간색 원)에서 진입했던 숏.

- 숏에 들어갔었던 근거는 삼각 수렴을 4파로 봤고 5 파동이 올라온 것이라고 생각해서.

- 저배로 들어갔다 왜? 신고가를 리플이 달성했기 때문에 어디까지 올라갈지 모르기 때문에

- 추가 숏을 진입해서 조금 익절을 했다. (평단은 높이고, 조금 익절 한 상태)

- 결과적으로 매물대 하단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봤었고 익절 했다.

 

 

 

 

환율

- 김프 때문에 테더 가격을 보면 1500원대이다.

- 테더를 출금해서 업비트에서 환전할 때 보면 1540원 정도 된다.

- 환율을 1450이지만 테더는 그렇다.

- 비트코인에서 환율은 김프까지 같이 고려한다.(당연한 말이지만)

 

 

 

 

비트코인

- 지금은 애매한 구간.

- ABC라고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던 것이 나왔고, 반등이 나왔다.

- 반등 때 숏을 들어가려고 했는데, 타점이 애매하게 안 나왔다.

- 이 구간이 임펄스 가능성도 있었다.

- 앞 꼬리(연두)는 절단으로 무시하거나 12-12로 봐도 된다.

- 꼬리 무시하고 보더라도, 12345로 상승했을 때 숏 진입한 뒤에 하락에서 익절 및 스위칭하면 올라가는 부분까지 수익으로 가져가려 했었다.

- 불반등이 나왔을 때 숏 타점을 잡으려고 했는데, 15분 봉상 이 (연두) 구간 파동이 끝난 건지 한 파동이 남았는지 가늠이 잘 안 됐다. (파동이 카운팅 할 게 없이 나왔다.)

- 그래서 숏을 놓쳤다.

- 떨어진 것 대비 618 반등이 이 지점에서 나왔었기 때문에

- 정석은 이때 숏을 들어가야 하는 것이 맞다.

- 임펄스가 나올지 안 나올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반절 익절을 굉장히 빨리 가져가야 하는 곳이다.

- 그리고 나머지 절반은 홀딩 중인 것이 맞는 곳.

- 한 번 더 하락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숏 포지션을 들고 있으면 좋은 자리지만, 현재 포지션이 없다. 지금 들어가기에는 애매한 자리.

- 지금은 어떤 식으로든 나올 수 있다.

- 이렇게 올라가서 매물대 (연두) 맞고 떨어질 수도 있다.

- 연두 전고점을 넘긴 이후에 abc로 올라갔다가 고점 넘길 것 같지만 전 매물대 맞고 다시 떨어질 수 있다.

- 이대로 떨어질 수도 있고, 올랐다 떨어질 수도 있고, 더 올랐다 떨어질 수도 있다.

- 그래서 여기는 갈림길이다.

- 어떻게 나올지 잘 모른다.

- 그런데 우리는 공통구간에 매매를 해야 하는데, 여기는 공통 구간이 아니다.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는 구간.

- 지금이 가장 매매하기 애매한 구간이라고 보인다.

-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abc로 더블 바텀(연두) 찍고 올랐다가 떨어질 수도 있다.

- 경우의 가짓수가 너무 많은 구간이라 당분간은 관망해야 할 것 같다.

- 이번에 매물대에서 지지가 나왔다. 

- 이 구간을 디맨드 존이라고 보면, 여러 번 반등이 나온 구간이다.

- 강력한 지지 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 이번에 떨어졌을 때 한 번 더 지지를 받을지는 알 수 없다.

- 그런데 지지가 이렇게 많이 나왔기 때문에, 지지가 나올 것이라고 보는 것이 더 확실한 분석이다.

- 매억남은 하락할 것 같다는 느낌을 받고 있다.(왠지)

- 올라갔다가 지지를 받는다면 반등이 나오겠지만, 이 구간이 뚫린다면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 굳건했던 지지가 깨진 것이기 때문에 급락하는 형태가 나올 것이다.

- 그렇다면 이 구간에서는 헤드 앤 숄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렇다면 넥라인 기준으로 헤드 크기만큼 빠지니까, 7만 대까지 빠질 수 있다.

 

 

 

장기 추세선을 그어보려 했는데, 적당히 그어지는 구간이 잘 없다.

- 장기 추세선 상 저항이 걸려서 나오더라도, 다시 깨져서 내려갈 것이라고 본다.

- 왜?

- 추세가 시작한 것이 끝났으면, 이탈하는 조정이 나왔다가 다음 추세가 형성된다.

- 그렇기 때문에 이 추세 라인은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하고 있다.(음... 이해가 안 된다. 왜지? 추세선은 그래도 의미가 있고 깨지면 분석을 이어가야 하는 것 아닌가..?)

 

 

 

매억남은 비트코인을 파동 카운팅 상 5 파동의 끝(1-5)으로 보고 있는데,

- 다른 사람들은 3-1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 

- 매억남 : 주황 / 다른 관점 : 연두

- 그런데 트렌드를 보면 매억남 관점이 더 맞는 것 같다고 보고 있다. 왜?

- 1, 3, 5 파가 각각 트렌드 상단에 닿고 있다. 여기에서는 조정이 나올 수밖에 없는 구간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 중장기 방향성 늘 동일하게 생각하고 있다.

- 다시 말하지만 하방으로 보고 있고, 강력한 매물대(7만 초반)까지는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모를 때는 모른다는 것을 인정하고, 무포지션으로 관망하는 게 좋은 것이다.

 

 

 

삼성전자(005930)

- 5만 초반 대에 머물고 있다.

- 4만 7천 원에서 4만 5천 원 선이 되면 살 것이고, 안 와주면 안 살 것이다.

- 현재 상황은 똑같다.

 

국내 증시

- 카카오와 대선 테마주 사서 들고 있다.

- 대선 테마주는 말하지 않겠다.

해외 주식

- 워런 버핏이 매수했던 정유회사 매수해서 좀 갖고 있다.

 

현금 & 채권

- 현금 보유량이 제일 많고,

- 회사채를 좀 갖고 있다.

- 언젠가는 환율이 떨어질 텐데, 회사채에서 연 5~7% 수익이 나도 환율이 떨어지면 해외 회사채는 손해가 날 수 있어서 국내 회사채를 갖고 있다.

 

 

 

 

엔비디아(NVDA)

- 지난 방송 이후로 저점을 살짝 갱신했다가 반등이 온 상태.

- 이대로 상승해서 고점을 넘길지, 반등 이후 재차 하락할지 모르겠지만,

- 매억남은 적어도 95~100달러 언저리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 한 82~3까지 떨어진다면 매억남도 매수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

- 그러려면 딥시크가 더 강력하고, 기존 AI 모델에 대한 경쟁이 나와서 엔비디아에 대한 우려가 나와야 한다.

- 악재를 기다리고 있다. 주식은 악재에 사는 것이다. 

 

 

 

테슬라(TSLA)

- 이쯤 되면 테슬라 다 팔아도 되지 않을까 싶다.

- 더 욕심 내면 안 될 것 같다.

- 이전 고점에서 사서 물려있는 사람들도 다 수익 구간이다.

- 만약에 이번 고점에서 샀다면 그건 바보인 것.

- 저번에도 말했지만 4파 삼각 수렴 나오고 5파 나오고 떨어지는 중이거나 엔딩 관점이다. 

- 신고점을 넘겨서 많이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는 않다.

- 좀 더 올라서 떨어지나 지금 떨어지나 비슷하기 때문에 수익화하면 좋을 것 같다.

 

 

 

 

코스피(KOSPI)

- 볼 게 없다. 모르겠다.

 

 

 

트럼프 코인(TRUMP)

- 매억남이 샀던 22달러대에서 또 떨어졌다. 방송 시점 기준 16.9 USDT

- 좀 더 분할 매수하면 좋을 것 같다.

- 그런데 밈코인은 이래서 사면 불안하다.

- 밈코인은 대체 왜 오르는지 모르겠다.

- 매억남은 7~10 분할로 살 것이라고 했는데, 이제 사면 두 번째다.

- 만약 비트코인이 빠지면 트럼프 코인 같은 경우에는 말도 안 되게 빠질 수 있다.

- 그러면 이때 좀 담는 것이 좋다.

- 매억남은 50만 달러를 샀고, 총 시드 500만 달러까지 10번에 나눠서 살 것이다.

 

 

 

비트코인 도미넌스(BTC.D)

- 만약에 도미넌스에도 엘리어트 파동이 적용된다면, 트렌드가 3개로 보인다.

- 굳이 이 구간을 보자면 임펄스로 볼 수도 있겠다.

- 만약 여기서 도미넌스가 더 빠지면, 이 구간이 도미넌스에 대한 기준 구간이 될 수 있다.(도미넌스에 대한)

- 더 빠지면 rsi도 빠지면서, 하락 다이버전스를 컨펌할 수 있다.

- 그렇지만 비트 코인 도미넌스가 빠진다고 해서, 비트코인이 하락하는 것으로 볼 수 없고 또 알트장이 온다고 볼 수도 없다. 둘 다 가능하다. 비트코인은 유지한 채 알트장이 와도 도미넌스가 오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 가능성조차 이렇게 된다는 것이 아니다. 가능성을 이야기하는 것.

- 도미넌스를 비트코인 분석에 유의미하게 가져가려면, 비트코인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분석이 확고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비트코인 도미넌스만 보기에는 불완정적이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