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방송

- 지금과 대동소이하다.

- 심플하게 이야기하면, 단기간 상방 보자였다.

- 앞으로 떨어지건 오르건 반등 왔다 떨어질 것 같다.

 

 

떨어진 것을 임펄스 5파로 떨어졌다는 전제하에

- 하락 임펄스 + 엔딩 다이아고날 이후 올랐다가 떨어지는 시나리오

- 하락을 다시 한다고 해서 폭락이 나온다고 해도 이 구간은 매수 구간으로 보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 폴링 웻지: 차트 패턴상 5번 반복하게 되면 상승하게 되는 상승 패턴

- 연두 구간이 1자로 폭락이 나오게 되면, 상승 다이버전스가 뜰 rsi가 안 그려진다.

- 그런데 이 구간이 abc로 rsi에 여유를 주고 떨어지면 이 구간에서 시간 봉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뜰 자리다.

또 추세 지지를 받는 구간이며, 중기 관점에서도 추세 지지를 받는 구간이다.

- 이 구간에서는 롱을 보는 것이 맞겠다는 생각이 든다.(한 5가지 근거)

- 이 구간이 애매하다고 말했었다.

- 애매한 이유: abc 중 c가 극도고 짧게 나왔기 때문

- 결론적으로 5분 봉을 보면, 임펄스 5파가 명확하게 나왔기 때문에

- 엔딩 다이아고날 내의 3파가 나온 것 같다고 판단하고 있다.

- 엔딩 다이아고날의 3파 : abc(335 인 듯?)

- 그러면 4파 반등이 나올 것이고, 5파 하락에 반등이 나올 것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 매억남의 경우 롱 진입 - 익절 - 숏 스위칭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 그런데 숏 스위칭 시 트렌드 라인에 타이트하게 손절 라인을 가져갔다면, 손절이 나갔을 것이다.

- 초보들은 많이 속았을 자리다.

- 파동 카운팅 해보면 1-2-3-4-5 이렇게 나온다.

- 그러면 노란색 지점은 트렌드 라인과 관계없다. 고점이 아니다.

- 그러면 그어야 하는 추세선은 이렇게 그어져야 한다.

실제 매매

- 숏 두 번 - 익절 - 약손절

- 매억남도 저 자리에서 손절했다.(외부 일정 중이어서 초보 실수를 했다고 한다.)

- 수익을 보기는 했지만, 좋지는 않았다.

(- 근데 매억남 말이 맞다면 저 자리가 나온 이후에 트렌드 라인을 그을 수 있는데, 어떻게 저 시점에 알 수 있지? 시바 존나게 어려운 것... 나도 저 질문에 동의하는데...?)

- 수익을 보기는 했지만, 좋지는 않았다.

- 의미가 없는 곳에 추세 라인을 그었다는 것이 문제다.

 

 

삼각 수렴

- 횡보 패턴

- 고점을 낮추고, 저점을 높이는 횡보 구간.

- 거래량을 함께 봐야 한다. 볼륨이 삼각 수렴 입구에서 지나면서 감소하는 성향이 있어야 한다.

- 초보들이 많이 하는 실수 : 상하단 트렌드 라인이 딱 예쁘게 떨어지지 않는다.

- 트렌드 라인에 딱딱 들어맞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고점이 낮아지고 있고, 저점이 높아지며 볼륨이 주는 것이다.

- 보통은 5개 파동을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5파는 트렌드 라인에 딱 맞는 경우가 거의 없다.

- 나스닥(연두)에서는 휩쏘를 주고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비트코인(주황)의 경우는 트렌드 라인에 가지 않고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 삼각 수렴은 각각 파동이 abc로 왕복한다.

- 상황이나 종목에 따라 패턴이 다르게 나오기도 한다.

- 비트코인에서는 마지막 5파는 트렌드 라인에 닿지 않고 이탈하는 경우가 70-80% 정도 되는 것 같다.

다시 설명

- 지난 방송에서 2파가 abc라고 했었다. (짧은 c)

- 그리고 4, 5가 나와서 떨어질 것이라고 했다.

- 삼각 수렴은 A-C-E와 B-D를 긋는 트렌드 라인을 그어야 한다.

- 따라서 초록색 지점에 트렌드 라인을 긋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 삼각 수렴 끝에서는 방향이 크게 터지는데, 상방/이탈의 5:5 확률이다.

- 트렌드 라인을 이탈할 때 추격 롱을 따라 들어가서 수익 구간을 가져간다.

- 꼭지가 위로 올라간 삼각 수렴

- 차트 패턴에서는 라이징 웻지라고 하고, 대표적인 하락 추세 전환 패턴이다.

- 폴링 웻지는 대표적인 상방 추세 전환 패턴이다.

- 대칭형일 때보다 폴링/라이징 웻지에서 휩쏘가 많이 나온다.

 

 

 

현재 엔딩 관점으로 차트를 해석하고 있는데 문제가 있다.

- 볼륨이 늘었기 때문에, 웻지가 아닐 수 있다.

- 따라서 이 구간에서 웻지라고 보고 덜컥 롱 매수 들어가면 안 된다.

- 이 자리가 매력적인 구간이긴 하다. 폴링 웻지 + 하단 트렌드 라인 + 장기적 트렌드라인 + 매물대 자리

- 이런 자리는 함정일 수 있다. -> 거래량이 늘고 있는 것이 함정에 대한 추론 근거

- 이런 경우에는 상방 돌파시 확인 매매를 하면 성공 확률은 높지만, 손익비가 좋지 않다.

 

 

 

아까 말씀하신 대로 5번째 안 찍고 지금도 상승으로 가는 거 아닌가요?????

- 5파가 트렌드 라인에 닿지 않고 이탈하는 것 : 3파의 저점을 찍고 올라가는 것(연두 라인) -> 이게 확률이 높다는 것

- 5파가 절단 : 3파의 저점도 찍지 않고 바로 이탈하는 것.

- 절단은 잘 안 나온다. 최근에 특히.

 

 

 

이대로 올라간다고 하면, 이 분석은 틀린 것이다.

- 거래량이 느는 것도 그에 대한 반증

- 그런데 이렇게 올라가 버리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 그러면 이 구간을 ABC로 봐야 하는데, ABC 모양치고 이례적이다.

 

손절 라인?

- 휩쏘가 나올 수 있다. 비트코인에서는 잘 안 나온다.

- 10번에 8번은 트렌드 라인을 맞지 않고 올라가 버린다. 10번에 2번은 휩쏘주고 올라간다.

- 롱 진입했다면, 트렌드 라인에 손절해야 한다. 20% 확률에 휩쏘주고 올릴 거야라고 생각하면 지옥 갈 수 있다.

정 다시 매수하려면, 휩쏘인 것을 확인하고 다시 매수하면 된다.

- 채널 안으로 v자로 밑 꼬리 달고 올라와야 한다. 

- 채널 안으로 들어올 때, 횡보하다가 들어오는 것은 아니다. 꼭 v자로 올라와야 휩쏘다.

 

 

 

정리

- 원래는 트렌드 라인 맞으면 롱 진입하자였는데, 지금은 무조건 받기는 무서운 상황

- 상방 뚫으면 진입하자. 못 나와도 반등이 382구간까지는 나올 것이다.

 

 

 

 

하방 관점

1. 하락 이후 - abc로 베어 플래그 만든 이후, 반등 -임펄스 5파(주황색 구간) - 반등 이후 큰 하락

2. 더블 콤보 W-X(wxy)-Y로 51-52k 찍고 하락

- 그런데 1번이든 2번이든 상승 공통 구간이 있고, 그 구간을 수익으로 가져가자

 

조심스러운 것

- 이대로 꼬라박는 것.(분석이 틀리는 것)

- 이렇다 해도 큰 우려가 없다.

- 상단 트렌드 라인 이탈 시 롱 매수 들어가자 이야기했다.

- 떨어지면 그냥 관망하면 된다.(무포지션. 아직 롱 타점에 진입한 것이 아니므로)

 

 

 

수익을 가져가실 때 피보나치 382에 수익실현 자주 하시는 것 같은데 어떤 이유인가요??

- 382가 공통 구간일 때가 많다.

- 382은 '최소'다. 0.5구간까지 갈 수도 있고 618까지 갈 수도 있다. 그러나 떨어질 수 있다.

- 그래서 최소한 수익을 볼 수 있는 시스템적으로 382에서 수익화하는 것이다.

 

 

 

추세판단할 때 어떤 시간대 차트 중요하게 보나요?

- 아무 의미 없다. 추세는 어떤 타임프레임에도 다 있다.

- 단타꾼들은 1분 봉 추세도 본다.

 

 

 

억남님 전부터 든 생각인데 지난 10년간의 상승으로 12345 한 사이클 끝난 후 작년 4-5월에 2파 조정이 끝나서 이제 3파가 올라간다는 희망회로 차트도 가능하지 않나요?(2파는 가격조정이 많으니) 4-5월 당시 13년도부터 고점 64로 보고 피보나치 찍어봐도 382인데 (사실 엄청난 희망회로라는 걸 알지만 혹시나 해서요)

- 가능성이 높지 않다. 왜?

- 3-2파가 너무 크다.

- 10년간의 상승한 1 파에 대한 조정 2파에 비해, 3-2파 조정이 너무 크다. 메인 조정 2 파동 이렇게 보면 너무 짧다. 10년간의 상승에 비해서

- 차치하고 3-3 파가 나오는 것이라면 임펄스가 나와야 하는데, 임펄스가 안 나왔다.

 

 

 

떨어질 때 미리 걸어두고 바로 체결해서 잡는 거에 대해 어찌 생각하시나요.

- 역지정으로 미리 걸어두는 것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 매억남은 거의 그렇게 한다.

 

 

 

나스닥(NQ1!)

- 하락 트렌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1234-5의 연장 12345가 맞으면, 이 구간이 반등 구간이 맞다.

- 382를 가던 0.5구간을 가던 올라갈 것이다.

 

 

 

해선 나스닥과 코인선물과 어느 것이 난도가 높다고 보시나요?

- 해선이 훨씬 어렵다.

- 해선은 헬이다.

 

 

 

 

 

하락구간에서 상승으로 추세전환될 때 포착되는 거래량과 차트 패턴은 무엇일까요??????

- 보통은 볼륨을 보면 된다.

- 어느 구간에서 볼륨이 떨어지다가 터진다고 하면, 거기는 찐 바닥일 확률이 높다.

- 그러나 주황색 구간처럼 급하락/급반등 할 때도 거래량이 터질 수 있다.

 

 

 

 

매억남님 과거 영상 돌려보다가 매억남님이 저점 잡는 법 고점 잡는 법이 따로 있다고 하셨는데 그 노하우는 풀어주실 수 없을까요??

 

 

 

 

 

핵전쟁 나면 어떻게?

- 가지고 있는 모든 자산 던져야 한다.

- 굳이 투자하려면 실물금. 근데 전쟁 났는데 실물금을 어떻게 살 거냐?

- 보통 금을 투자할 때 KRX에서 금증서를 사면 수수료 1%.

- 그런데 실물 금 사면 수수료 10%. 확증 손해가 10%인 것이다.

 

 

 

한 10개월 정도 공부하고 데이트레이딩을 합니다. 청산도 많이 나고 맘고생도 많이 해서 지금은 현상유지에서 시드가 늘어났다 본전 오길 반복하고 있습니다. 저는 1 분봉 15 분봉을 주로 보고 소파동에 짧게 진입을 합니다. 물론 1시간 4시간 하루도 보고요 데이트레이딩에 대해 조언 좀 구해도 될까요 항상 고맙게 보고 있습니다.

- 차트분석은 전반적인 흐름을 알고 전략을 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큰 추세부터 작은 추세 순으로 분석)

- 출금은 중요하다. 출금의 중요성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