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스트

- 어제 추천했었는데 오늘 140원까지 갔다.

- 최근 알트 불장 예측했는데, 저스트도 거의 2배 올랐다.

 

 

- 이전 방송에서 롱을 탈 것을 미리 말했었다.

- 그리고 첫 번째 롱 지점에서 매수했는데, 떨어지길래 추가 롱 진입했다.

- 반익절 했고, 떨어졌을 때 본절하고 채널 하단에서 롱 매수할 것이라고 했다. 왜?

- abc로 떨어지게 되면, 불 플래그 패턴이 완성되는 것이다. 불 플래그 패턴은 강한 상승 패턴이다.

- 이대로 떨어지면 rsi가 이렇게 빠지면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생성된다. 이것 또한 위로 상승한다는 시그널이기 때문에.

- 또 손익비 관점으로도 좋다.

정리하면

- 롱 두 번 진입

- 오르면 반 익절, 이후 내리면 반 손절 / 오르면 홀딩 / 더 내리면 롱 재진입

이렇게였는데, 어제 이후 생각이 좀 바뀌었다.

- 어제 떨어지는 거 보니까 맥도날드가 또 나왔다.(계단식 하락)

- 맥도날드 : 올라갈 것처럼 하면서 계속 내려서 포지션을 털어낸 뒤 급상승하는 패턴

- 그렇게 갈 줄 알고 롱 포지션을 빨간색 지점에서 매도했다.

- 또 이후 이렇게 내려갈 줄 알고, 빨간색 지점에서 숏으로 진입했다.

- 상단 채널이 깨지면 손절하겠다는 전략이었는데, 아주 살짝 터치하면서 초록색 지점에서 손절했다.

- 손절 이후 떨어지고 다시 abc 반등 오면서 채널 상단 터치하길래 숏 재진입했다.

- 이후 떨어지길래, 채널 관점 유지하려나 보다 -> 그러면 채널 하단까지 홀딩한 후에 숏 익절 및 롱 스위칭해야지라고 생각했다.

- 그런데 비비면서 채널 이탈했다. -> 아, 불 플래그가 안 나오겠구나. 생각하고 본절 했다.

 

 

불 플래그로 abcde가 아니라면 어떤 관점으로 봐야 하는가?

- 전형적인 w(abc) - x(abc) - y(abcde 삼각수렴) 더블 콤보가 보인다.

- 보통 abc나 wxy가 나오면 전형적으로 하락-반등-하락이 나와야 할 것 같은데, wxy 패턴은 하락-반등-수렴이고 그리고 상승한다.

- 이런 패턴이 나올 것 같아서 숏 탔던 것 손절했다.

- 이 패턴(더블 콤포 패턴)은 언제 나타나느냐?

- 유의미한 wxy 패턴

- 2020년도 9월

- 그전에 2~3년 다 돌려봐도 안 보인다.

- 이때가 거의 유일 무이했다.

- 이때 코로나 이후 4천 달러대까지 폭락했었다. 그 뒤로 찐 상승장이 왔었다.

- 4천 달러가 6만 달러까지 올랐다. 이 상승장의 초입 부분에 이 wxy 가 나왔다.

- 원래 abc 패턴 : 조정(매도) - 반등(매수) - 조정(매도)이 나오고 올라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 wxy 패턴 : 상승장 초입, 매수세가 강하게 붙는다. 처음에는 강하게 하락했으나, 매도세와 매수세가 균형을 이루면서 수렴을 이룬다. 그래서 올라가는 패턴이다.

- 원래 같았으면 abc로 빠져야 할 것이 wxy로 나와서 상승한다.

- 상승 중에 wxy 더블 콤보가 많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지금도 박스권을 탈피해서 나오는 것이 첫 조정이다. 그 말은 상승세가 강한 자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 wxy 패턴이 나올 수 있는 자리라고 보는 것이 맞다.(무조건이 아니라 확률적으로 가능성이 꽤 있다.)

- wxy 패턴은 흔하게 나오는 패턴은 아니었다. 

 

 

 

- 그러나 아직 모른다. wxy라고 단정할 수 없다.

- 333 ABC로 떨어질 수도 있다.

- 그러면 이제 어떻게 봐야 하냐?

- c 파동이 b파 고점(연두 라인)을 깨면 abc로 내려가는 시나리오는 깨지는 것이다. (불규칙 러닝 플랫일 수도 있지 않나?)

- 그렇게 되면 wxy로 볼 수 있는 확률이 좀 더 상승한다.

- 현재 매억남은 포지션이 없는데, 이 라인이 깨지면 롱을 진입하는 것이 확률상 안전하다고 보고 있다.

 

 

 

 

정리

- 크게 봤을 때 삼각 수렴을 이루다가 연두 지점에서 상방 이탈한 것으로 보고 있다.

- 그 이후 12-12-345로 상승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 상승 쪽으로 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 떨어지면서 abc 나오고 불플래그 패턴 나오면, 상승 다이버전스까지 생기고 손익비 좋은 자리에 롱 매수받으려고 기다려고 있었다.

- 그런데 채널을 이탈했기 때문에 이런 시나리오로 흘러가지 않았다.

- 차트상으로 가장 높은 확률이 복합 조정이라고 보인다.

- 복합 조정 : 가격 조정(연두) + 기간(수렴) 조정(주황)

- 그렇다고 지금 당장 풀 매수하기에는 리스크가 있다. 왜? 여전히 ABC(abc-abc-abc)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 차라리 이 구간을 돌파하게 되면 롱 추격 매수를 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 그러나 다시 하락하게 된다면 333 ABC로 다시 관점을 볼 것이다. 그러면 C의 고점 아래에서 롱 포지션을 할 예정이다(ABC 조정이 끝나면 상승하므로)

 

 

 

 

이 관점들이 틀리면 폭락밖에 없다.

- 현재 계단식 하락 중( 하락- 반등 - 하락 - 횡보)

- 올라가면 상방, 하락한다고 해도 계단식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 그렇기 때문에 롱 진입 시에도 역지정 손절을 잘 걸어두면, 큰 손절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아직 wxy 패턴에서 y의 삼각 수렴이 덜 나왔다는 관점도 있을 수 있다.

- 그러고 올라갈 수 있다.

- 그렇기 때문에 양쪽 주황색 라인들을 넘어서지 않으면 어떻게 될지 모른다.

 

 

 

 

우려해야 될 점

- 생각보다 매물대를 진짜 많이 쌓았다.

- 상승장인 것처럼 속여서 롱 포지션을 태우게 하고, 숏 포지션을 계속해서 매집해 왔다고 하면 올리기 힘들다.(한 번에 급등하는 것 아니면)

- 고점에서 폭락 나올 때, 상승인 것처럼 하다가 폭락 나오는 시나리오가 종종 나왔다.

- 그렇기 때문에 abc가 완성된 다음에 불 반등이 v자가 안 나오면,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어제 방송 시점에만 해도 abc가 깔끔하게 나오고 불 반등이 v자로 깔끔하게 나왔기 때문에 말을 하지 않았다. 

- 그런데 이제는 생각해야 한다.

 

 

 

 

알트

- 질리카는 이제는 파는 게 좋다.

- 대장주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리고 제일 많이 올랐다. 5배 올랐다.

- 최소한 50~60%는 다 매도하는 것이 좋다.

- 전고점을 넘길지 안 넘길지는 아무도 모른다.

- 저항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일부는 꼭 익절 해라.

 

 

저스트

- 공부용으로 보면 딱 좋다.

- 상장 이후 컵 앤 핸들을 그리면서 비트코인 상승장 때 고점 상승한 차트

- 거래량을 보면 하방에서 매집한 구간이 있는데, 고점에서 거래량이 터지지 않았다.

ㅗ

- 그런데 갑자기 거래량이 최근에 나왔다.

- 고점 찍고 1/5 ~ 1/7 토막까지 하락했다.

- 그리고 반등 - 횡보 - 하락하면서 더블 바텀을 지지하면서 바닥은 어지간하면 뚫리지 않겠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거래량이 엄청나게 터졌다.

- 그리고 다시 떨어질 때 거래량이 줄어들었다. 전형적인 매집봉이다.

- 윗꼬리를 달면서 하락하는 것은 이 분석이 틀렸다는 것일 수 있는데 이후 이 갭을 다 매우면서 올랐다. 이 말은 조정 주고 쏘겠다는 말이다.

- 그 조정이 2 거래일이 어제 나왔다. 원래 3 거래일에 쏜다. 그래서 오늘 엄청 올랐다.

- 매억남이 생각하기에는 저스트는 100% 작전 세력이다.

- 왜? 올라가려던 자연스러운 매수세를 자연스럽게 매도세가 있어서 내려가는 것이었다면 여기서 하락했어야 한다. 그런데 갭을 다 채웠다. 

- 그리고 올리자마자 거래량 죽이면서, 조정 주는 것.

- 딱 봐도 누가 핸들링하는 것 같다.

- 저스트는 끝인가요?

- 일단 목표가는 왔고, 매물대를 뚫었다. 상단에서 지지받고 다시 갈 수도 있지만 어디까지 갈지는 알기 어렵다.

- 중요한 것은 오늘 봉마감을 봐야 한다.(내일 아침 9시)

- 윗꼬리가 긴데 거래량이 진짜 많이 터졌다 -> 보수적으로 봐야 한다.

- 만약에 내일 양봉마감이 꼬리 없이 꽉 차게 마감되면 더 쏘겠다는 뜻이다.

 

 

 

 

 

피르마체인

- 어제 저스트와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 작년 상승장에서 급등-급락했다. 이후 반등 - 삼각 수렴 그리고 하락하다가 반등이 나왔다. (저스트 코인도 삼각 수렴이 있었다.)

- 일봉 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있다.

- 아담과 이브 패턴(v+u)도 있다.

- 거래량을 보면 상장한 날 설거지하면서 거래량 엄청 터졌다. 이후 상승 초입을 지나고도 줄곧 그 볼륨을 넘기지 못했다.

- 그런데 그 이후 가격이 하락했을 때 볼륨이 터졌다.

- 세력이 있다면 유의미한 매집 구간이라고 보인다.

- 또 더블 바텀 확인(더블 바텀이라고 하기에는 가격 차이가 조금 있는데, 이 정도는 괜찮은 가보다.)

- 매억남이 말했을 때 가격이 188원이었는데, 말하자마자 198원까지 올랐다.

- 피르마의 경우에도 이게 매집봉이면 아직 시작도 안 한 것이다. 매집봉이 맞으면 300원 넘어서까지 오른다는 것이다.

- 그런데 항상 이게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제로엑스(ZRX) 역대급 거래량인데 봐주세요.

- 윗꼬리가 너무 길다. 하지만 갭을 메우고 있어서 나빠 보이지 않는다.

- 그런데 이거는 확인하고 들어가는 게 좋을 것 같다.

- 어쨌든 바닥에서 거래량이 이렇게 터진 것은 고무적이다.

 

 

 

오늘 트론도 올랐다.

트론 3 총사 = 저스트, 트론, 비트토렌트

- 셋 다 올랐다.

 

 

 

이더리움 클래식(ETC)

- 이더리움 클래식은 메이저 거래소가 바이낸스 이기 때문에, 트뷰로 봐야 한다.

- 갈수록 무거워지고 있다.

- 이더리움 클래식은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는다.

- 앞서 좋다고 했던 차트들과 다른 점은 고점 거래량이다.

- 고점 거래량이 너무 많다. -> 다 팔았다는 것이다.

- 고점에서 다 팔았다고 해도, 매집을 했으면 괜찮은데 매집 구간이 보이지 않는다.(매집봉이나, 볼륨이 어딘가 터진 자리)

- 매집봉 : 양봉 볼륨은 많은데, 그다음 음봉 볼륨이 적은 것

- 그런데 양봉 볼륨과 음봉 볼륨이 거의 같이 나온다. -> 매집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 또 차트 적으로 봤을 때, 상승 전환 시그널이 그다지 보이지 않는다.

- 또 주요 매물대가 두터운 구역까지 거의 다 왔다. 저항을 받기 시작하는 자리다.

- 차트 모양도 무거워지고 있다. 

- 무겁다는 것 의미 : 상승 파동일 때 상승의 크기가 크고, 조정의 크기가 작다. 그런데 그 상승 파동이 둔화되면, 상승 파동의 크기와 조정의 크기가 같아지고 있다.  

- 또 올랐을 때 고점에서 거래량이 터졌다.

- 올라갈 때 거래량이 터지는 것이 좋고, 고점에서는 거래량이 빠지면서 조정을 받으면 좋다.

- 중장기적으로는 모르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이더리움 클래식은 크게 좋아 보이지 않는다. 현재 시장에 많은 코인들이 좋기 때문에.

 

 

 

엔진코인(ENJ)

- 엔진도 괜찮다.

- 전형적인 패턴 : 고점 찍고 빠지는데, 상승 다이버전스  + 아담과 이브 패턴

- 다만 엔진 코인은 시가 총액이 크다. 2조. 그만큼 무거운 코인이다.

- 찐 상승장에는 이런 메이저 코인들이 잘 나가는데, 순환매에는 시가 총액이 좀 작은 종목들을 하는 것이 좋다.

 

 

 

보라(BORA)

- 좀 크게 중장기로 보면 좋을 것 같다.

- 이게 맞으면 괜찮아 보인다.

- 1234 수렴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올라가면 5파가 나올 것이다.

- 또 손익비가 괜찮다. 방송시점 1185원인데 손절라인이 970원 정도. 익절라인은 2000원대가 넘을 테니 손익비가 10배 정도 되는 것 같다.

- 중장기적으로 괜찮아 보이는 자리.

 

 

 

스테이터스네트워트토큰(SNT)

- SNT는 스캠 아닌가? 물론 큰 상관없기는 하지만.

- 다 좋은데 음봉 거래량이 너무 크다. 

- 이 앞 구간들을 매집봉이라고 볼 수 있는데, 양봉 요만큼 올렸다고 거래량이 이렇게 터지면서 음봉이 나왔다.

- 이것은 애매하다. 음봉 거래량만 안 터졌으면, 진짜 좋았을 텐데

 

 

 

비트 수렴을 4파 조정이라고 보셨는데, 382까지가 아닌데..? (질문이 뭐지. 질문이 뭔지 다 말 안 함)

- 카운팅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예를 들면, 1234(삼각수렴) 5가 나왔고, 이 임펄스 1파에 대한 조정 2파 일 수 있다.

- 2파라면 좀 더 내려올 수 있다.

 

 

 

 

차트외적인 부분에 차트에 나타나나요?

- 당연히 나타난다.

- 차트를 과대해석할 필요도 없다. 있는 그대로 바라보면 된다.

 

 

 

 

비트코인

- 방송 중에 빠지기 시작. 롱 받기 무섭다.

- 빠지면 매물대가 멀기 때문에 많이 빠질 수 있다.

- 이 구간에서 롱이건, 숏이건 주문을 역지정 시장가로 걸어야 한다.(뚫는 구간에)

- v자 다시 반등 나왔다.

- 이 구간에 매물대가 너무 많아서 한 번에 v자가 아니면 들어 올리기 힘들다. 들어 올릴 거면 한 번에 말아 올려야 한다. 

- 반등이 세게 나왔다.

- 잘하면, 15분 봉 상승 다이버전스도 나온다.

- 봉마감이 중요하다. (rsi 같은 경우에 봉이 마감이 돼야 기록이 된다. 중간에 rsi를 보고 판단하면 안 된다. rsi는 꼬리가 안 남는다.)

- 15분 봉 마감 했는데, 상승 다이버전스가 안 나왔다.

- 우려하던 바가 왔다. 맥도날드 m자가 나왔다.

- 18년도에는 이런 차트를 '숏매집차트'라고 불렀다.

- 전고를 넘기기 전까지는 포지션에 주의를 줄 것 같다.

 

 

 

다이버전스 몇 분봉까지 보시나요?

- 15분, 30분, 1시간, 4시간, 일봉, (주봉)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